 |
석사과정(Th. M.) 공통과목 및 해설
|
·교의신학세미나 Dogmatics Seminar |
교의신학 분야에서 제시되는 중요한 신학적 이슈들을 선정하여 연구하고 토의하며, 개혁주의 신학의 정통성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가도록 하는 분야이다. |
 |
·칼빈의 신학 Theology of John Calvin |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의 기초를 제공한 요한 칼빈의 주석, 설교, 신학사상, 편지들을 통해 칼빈 신학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여 가르치는 분야이다. |
 |
·신약신학세미나 New Testament Theology Seminar |
신약신학의 연구 방법론들을 먼저 살펴보고, 신약의 주요한 주제들인 바울신학, 공관복음서 신학, 요한신학
등을 연구한다. |
 |
·성경고고학 Biblical Archelogy |
고고학은 정확무오한 말씀인 성경을 훼손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말씀이 정확한 하나님의 말씀일 수밖에
없다는 것에 도움의 역할만을 감당한다. 그 도움의 역할에 있어서 성경고고학은 바로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말씀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좋은 조력자가 되기 때문에 학문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
 |
·역사신학세미나 Historical Theology Seminar |
신학적 주제를 한 가지 선택하여 초대교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학적으로 어떻게 발전하며 변천했는지 또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
 |
·구약신학 석사과정(Th. M. ) 필수과목 및 해설
|
·히브리어 구문법 Hebrew Syntax |
구약원어성경 해석의 기초가 되는 히브리어 문법(음운론, 형태론, 구문론)과 문맥(역사적, 문화적 배경) 및 문학적 구조, 그리고
해석에 필요한 도구 사용법 등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한다. |
 |
·구약신학세미나 Old Testament Theology Seminar |
구약 연구에서 가장 논쟁적이며 중요한 중심 주제를 연구함으로써 구약신학을 이해한다. 특별히 “성경적 접근”에 대한
최근 구약 학계의 새로운 강조와 구약신학의 주제에 대하여 영어, 독일어, 화란어 권에서 발표된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를 살핌으로
다양성과 종합성을 연구한다. |
 |
·역사서연구 Studies in the Historical Books |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여호수아부터 열왕기하까지는 “전기 예언서”로 그리고 룻기, 역대기부터 에스더까지는 “성문서”로
구분을 한다. 이 두 큰 역사서는 기록된 시기나 기록 목적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둘을 비교하면서 이스라엘 역사와 신학적 관점을 통해
구속사를 이해하며 연구한다. |
 |
·오경연구 Studies in the Pentateuch |
오경은 율법, 예언서, 성문서로 나누는 히브리 정경의 3분법상에서 첫 자리에 오게 된다. 그러므로 오경은 구약만 아니라
모든 성경의 시작이자 토대이다. 모세 오경의 내용은 그 지리적, 시대적 요소에 딸, 6대 구분이 가능하다. 1)원시역사(Primaeval History),
2)족장역사(Patriarchal History), 3)출애굽(Exodus), 4)시내산 언약(출 19:1- 레위기-민10:11), 5)광야여정(민 10:12-민 36장), 6)모압들
언약(신명기) 등. 우리는 성경 저자가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듣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
·시편연구 Studies in the Psalms |
히브리성경의 제3부인 성문서의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시문학(시편)에 나타난 구약시대 이스라엘
신앙공동체의 신앙전승을 연구한다. 따라서 본 강의는 구약 시편에 대한 개론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며 이후 보다 심화된 시편 신학
각 분야 강의 및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는 데 그 주안점을 둔다. |
 |
·선지자연구Studies in the Prophets |
고대근동의 예언들의 유형과 구별되는 이스라엘 예언의 유형과 특징들을 구약 예언서를 통해 알아본다. 특히 지난 세기
동안 구약 예언서 연구 동향들과 최근 예언서 연구 상황을 살펴보고, 최근 새로운 구약 예언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현 최종형태가
보여주는 예언서의 신학의 의미를 연구한다. 아울러 구약 예언서가 오늘 목회 현장에서 어떤 의미를 던져 주는지를 알아본다. |
 |
·역사신학 석사과정(Th. M. ) 필수과목 및 해설
|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Fundamentalism and Evan gelicalism |
자유주의에 대항하여 구 프린스턴 신학에 원천을 두고 발생한 근본주의 운동을 살펴보고, 복음주의가 어떻게 근본주의에서
일어나게 되었는지 또한 오늘날에 복음주의는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
·청교도 신학 Puritan Theology |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까지 잉글랜드와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청교도들의 삶과 신앙과 신학을 살펴보고 개혁신학의 틀
가운데 그들의 신학의 자리를 찾아본다. |
 |
·근현대 기독교 사상사 History of Modern Christian Theology |
근세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몽주의 및 이신론, 경건주의 감리교신학, 구자유주의, 신정통주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신학의 변천 등의 기독교 사상들을 역사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
 |
·뉴잉글랜드 신학 New England Theology |
조나단 에드워즈에게서 시작되었으며 2차 대각성운동의 신학, 신학파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는 뉴잉글랜드 신학이 에드워즈의
제자들을 비롯한 후계자들에 의해서 어떻게 발전, 변천되었는지를 역사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
 |
·프린스턴 신학 Princeton Theology |
한국 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구 프린스턴 신학의 역사적 배경과 중심 주제들 및 대표적인 신학자들의 생애와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
 |
·메이첸의 신학 Machen's Theology |
한국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신학자이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창설자인 메이첸 박사의
신학을 주제별로 연구한다. |
 |
·교의신학 석사과정(Th. M. ) 필수과목 및 해설
|
·교리사 The History of the doctrine |
초대교회로부터 시작하는 주요 교리를 연구하여 기독교의 정통 교리를 확립하도록 돕는 과목이다. |
 |
·생명윤리-Life Ethics |
신자들의 삶속에 수많은 생명에 관하 이슈들이 무엇인지 살피고 이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대안이 무엇인지 성경을 통해 고찰함. |
 |
·서방교부 연구 A Study in the Western Church Fathers |
개혁주의의 근본을 이루는 서방 교부들의 신학을 연구하여, 개혁주의 바른 교리의
내용을 확립하도록 돕는 과목이다. |
 |
·기독교사회윤리 Christian Social Ethic |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들과 문제들을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성경적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는 과목이다. |
 |
·현대신학 The Contemporary Theology |
오늘날 다양한 신학적 현상들을 진단하고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비평하며, 성경에 근거한 신학적
교리들을 규명하는 과목이다. |
 |
·기독교경제윤리-Christian Economical Ethics |
현대의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간난과 부에 대한 경제적 정의가 무엇인가 이에 대한 기독윤리적 대안이 무엇인지 성경을 통해 고찰함. |
 |
·신약신학 석사과정(Th. M. ) 필수과목 및 해설
|
·예수 생애연구 The Life of Jesus |
마태, 마가, 누가복음은 공관복음서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신약학계에 공관복음서는 더 이상 예수의 역사를 담고
있는 책이 아니라, 저자의 신학만을 반영하는 책으로 여겨진다. 이 과목은 그러한 주장이 타당한지를 연구할 뿐만 아니라, 예수의
역사를 담고 있는 책을 공관복음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지를 다룰 것이다. |
 |
·헬라어 의미론 The Semantics of the Greek New Testament |
본 과목은 현대 언어학 이론 중 의미론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다룬 후 의미론 연구를 어떻게 신약성서 헬라어
본문을 연구하는데 사용할 것인지 이론과 실전을 함께 다룰 것이다. |
 |
·예수죽음·부활연구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
하나님의 계시는 구체적인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주어졌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기 위해선 그 계시가 주어진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배제하고는 이뤄질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전제위에서 본 연구는 신약성서의 주인공인 예수와 바울이 살았던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으로 제2성전시기 유대주의와 그리스도 로마 세계를 규정한 후 신약성서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그 배경의
활용성을 연구할 것이다. |
 |
·성경해석학 Biblical Hermeneutics |
성경은 인간이 알 수 없는 암호가 아니라, 인간이 알 수 있는 언어로 되어있고, 그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인간이 알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문학 장르를 이용한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은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있는 참된 의미를 밝히는 작업이다. 그리고 그 작업의 방법론과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바로 성경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
 |
·요한신학세미나 The Johannine Theology Seminar |
현요한신학계에도 확고한 신학적 입장이 자리 잡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요한문헌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성도 있지만,
저자의 문제나 저자의 의도가 확실히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며, 특별히 요한 문헌과 공동체의 연계성에 대한 확실한 답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한문헌의 서론적인 이슈들을 해결하고, 거기에 따른 여러 가지 신학적인 문제를 다루는 과목이 바로
요한신학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
 |
·바울신학의 관점 The Perspectives on Pauline Theology |
현 바울신학계는 그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방향을 달리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관점이 부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금 현 바울신학계의 양대 산맥인 구관점과 새관점을 연구하고, 그 관점들의 연구들을 통해 진정으로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관점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고자 한다. |
 |
·실천신학 석사과정(Th. M. ) 필수과목 및 해설
|
·현대문화와 한국종교 연구 Study of Modern Cultures and Korean Religions |
한국교회의 한국기독교 이해는 현대문화와 한국종교에 대한 선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문화인 자본주의와
실용주의 민주주의 등에 대한 영향과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 등을 이해하여 올바른 목회와 신앙의 실천에 적용케 하도록 돕는다. |
 |
·생명신학의 이해와 실천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Life theology |
현대의 교회는 사회의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인권, 생태파괴, 안락사와 낙태, 이혼 등 하나님이 만드신 생명체들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실천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
 |
·기독교교육 연구 Christian Education Study |
교회교육과 가정교육, 기독교 기관의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독교교육의 이론들을 살펴보고 개혁
주의적 신학에 근거해 심층적인 적용을 위해 연구하는 과목이다. |
 |
·개혁주의 설교 연구 Reformed Preaching Study |
개혁주의 설교자들인 칼빈, 워필드 등의 설교를 연구하여 그들의 설교의 핵심적인 내용과 신학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그들의 설교양식 등을 살펴보아 현대의 설교에 접목하고자 연구하는 과목이다. |
 |
·개혁주의 예배 연구 Reformed Worship Study |
초대교회에서부터 지금까지의 예배 변천사를 살펴보고 올바른 개혁주의 예배가 무엇인지 연구하는 과목이다. |
 |
·성경적 상담연구 Biblical Counselling Study |
다양한 많은 상담적 이론들을 살펴보고, 교회나 목회에서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는 성경적인 상담의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과목이다. |
 |
 |
1.박사과정의 수업연한은 3년 6학기로 한다.
2. 학위취득에 필요한 학점은 총 36학점이며 학기 별
이수학점은 다음과 같다.
|
학기 |
전공 이수학점 |
타전공 이수학점 |
1학기 |
6학점 |
3학점 |
2학기 |
6학점 |
3학점 |
3학기 |
6학점 |
3학점 |
4학기 |
6학점 |
3학점 |
5학기 |
논문지도 |
- |
6학기 |
졸업논문 |
- |
|
전공 : 24학점 |
타전공 : 12학점 |
|
·구약신학 박사과정(PH,D,) 필수과목 및 해설
|
·MT와 LXX비교학 Comparative Studies on Marrorah and
Septuagint |
구약의 중요한 히브리어 사본과 헬라어 칠십인역 역본의 비교를 통해 번역의 문제점, 본문주석과 신학적 논쟁들을 제기하며
해답을 시도한다. 히브리어 사본에서 헬라어로 번역되는 과정에 있어 해석학점 요소들을 고찰하며 원문주석을 중시하게 된다. |
 |
·토라 torah |
신명기에 나타난 토라를 중심으로 구약시대의 율법 형성, 전승, 형태, 신학, 적용과 고대근동 법률과의 비교학을 연구하게 된다.
율법의 외형과 본질에 있어 복음과의 마찰을 분석하며 본질에 있어 이질성과 동질성의 면들을 고찰하게 된다. |
 |
·선지서 Prophetical Books |
전통적인 유대인들의 구약 삼분법에 따라 선지서들을 연구한다. 우리의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의 선지자들이
오경의 언약 조항들에 근거하여, 언약 백성 이스라엘을 기소하는 메시지를 선포했던 언약의 사신들이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그
리스도의 재림(parousia)에 이루어질 것으로 이해한다. |
 |
·구약신학소론 Old Testament Theological Essays |
구약본문의 주석과 의미를 탐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그러나 그 방법론과 접근에 있어 다양하고도 상추되는 점들을 분석하며
이에 대한 최근 여러 학적인 논쟁들을 복음주의 시각에서 정립한다. |
 |
·구약해석학 Old Testament Hermeneutics |
구약을 해석하는데 있어 통시적 접근에서 공시적 접근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패러다임의 변환들을 고찰한다. 전통적인 문학-역사
비평은 본문의 역사적 의미를 시도한 반면 신문학비평은 문학 구조적인, 혹은 수사학이나 담화 분석적인 의미를 추구한다. |
 |
·구약 신학 Old Testament Theology |
구약 신학의 변천사(구약신학의 역사)와 가장 대표적인 구약신학 저작들을 중심으로 구약신학의 방법론을
다룬다. |
 |
·시편연구 Study of Psalms |
시편은 시라는 특수한 문학 형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시편 연구는 ㅇ선적으로 그 형식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한편, 궁켈이
시편 연구에 양식비평을 도입한 이래 시편은 대개 개인 탄식시, 공동체 탄식시, 감사시, 찬양시, 교훈시, 역사시 등으로 분류하고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다음으로 연구할 시를 하나 택하여 그 시의 역사적 배경(Sitz im Leben)을 연구한다. |
 |
·히브리어 문법 Hebrew Grammer |
히브리어 문법 연구는 기본적인 문법 사항들, 쉬운 문장들을 익히고 암송한다. 여기에서 습득한 바를 토대로 하여,
내러티브(narrative)의 한 부분을 선택하여 문법적으로 분석하고, 구문을 파악한다. 여기서 특히 텍스트-언어학(Text-Linguistics)도
고려한다. |
 |
교의신학 박사과정(PH,D,) 필수과목 및 해설
|
 |
·칼빈신학연구 Study on Calvin’s Theology |
개혁신학의 기초가 되는 요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여 바른 개혁주의신학을 확립하도록 가르치는 과목이다. |
 |
·십계명과 윤리적 적용 The Commendnets and Appication to Application to Christian Ethic |
기독교인의 최고의 윤리 강령인 십계명을 연구하고 이를 윤리적 관점에서 적용하는 과목이다. |
 |
·삼위일체론 The Doctrine of the Trinity |
기독교의 핵심인 삼위일체 교리를 개혁주의 입장에서 바르게 정립하여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을 바르게 확립하는 과목이다. |
 |
·개혁신학과 윤리사상 The Reformed Theology and Ethic
|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윤리사상을 연구하여 바른 윤리적 규범을 정립하도록 지도하는 과목이다. |
 |
·동방교부 연구 Study on the Eastern Christian Social Ethic |
종교 개혁자 존 칼빈의 신학사상의 또 다른 뿌리인 동방교부들을 연구함으로 바른 개혁주의 사상의 바른 교리를 제시하는 과목이다. |
 |
·현대사회 윤리 Contemporary Chistian Social Ethic |
오늘날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이슈들을 성경과 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과목이다. |
 |
·현대신학 The Contemporary Theologies |
오늘날 다양한 신학적 현상들을 진단하고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비평하며, 성경에 근거한 신학적 교리들을 규명하는 과목이다. |
 |
·교회의 목회윤리 The Church and Pastoral Ethic |
현대교회가 필요로 하는 바른 성격적 윤리관을 연구하고 이를 교회목회에 적용하는 과목이다. |
 |
역사신학 박사과정(PH,D,) 필수과목 및 해설
|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 |
자유주의에 대항하여 구 프린스턴 신학에 원천을 두고 발생한 근본주의 운동을 살쳐보고, 복음주의가 어떻게 근본주의에서
일어나게 되었는지 또한 오늘날에 복음주의는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
 |
·청교도 신학 Puritan Theology |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까지 잉글랜드와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청교도들의 삶과 신앙과 신학을 살펴보고 개혁신학의
틀 가운데 그들의 신학의 자리를 찾아본다. |
 |
·근현대 기독교 사상사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in Modern
Age |
근세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몽주의 및 이신론, 경건주의, 감리교 신학, 구자유주의, 신정통주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현대신학의 변천 등의 기독교 사상들을 역사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
 |
·뉴잉글랜드 신학 New England Theology |
조나단 에드워즈에게서 시작되었으며 2차 대각성운동의 신학, 신학파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는 뉴잉글랜드 신학이
에드워즈의 제자들을 비롯한 후계자들에 의해서 어떻게 발전?변천되었는지를 역사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
 |
·프린스턴 신학 Princeton Theology |
한국 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구 프린스턴 신학의 역사적 배경과 중심 주제들 및 대표적인
신학자들의 생애와 신학사상을 연구한다. |
 |
·메이첸의 신학 Machen's Theology |
한국 장로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신학자이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창설자인 메이첸 박사의 신학을 주제별로 연구한다. |
 |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학 History and Theolog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
한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더불어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선교사들의 산학, 1930년대의 근본주의 대 자유주의 논쟁,
1950년대의 장로교의 분열, 2005년에 합동측과 개혁측의 재합동 등에 관련된 신학적 주제들을 연구한다. |
 |
·부흥운동들의 역사와 신학 History and Theology of Revival
Movements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부흥운동들의 역사와 그와 관련된 신학적 주제들을 고찰한다. |
|
|
신약신학 박사과정(PH,D,) 필수과목 및 해설
|
·마가복음연구 study of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
마가복음에 대한 역사적, 문학적, 언어학적 연구. 그것의 유대적 뿌리와 그리스-로마 환경에 놓인 역사적 예수의 하나님
선포에 관한 책을 역사적, 언어학적 그리고 문학적 도구를 이용하여 연구한다. |
 |
·현대 언어학과 신약성서 Modern Linguistics and New Testament
Reading |
현대의 발전된 언어학 이론을 도구로 신약성서 읽기를 시도함. 우리의 관심은 현대 언어학의 의미론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사용하여 신약성서의 본문의 원 의미를 밝혀내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
 |
·역사속의 예수 Jesus in History : Study of Jesus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judaism and Greco-Roman Context |
사복음서를 토대로 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함. 우리의 관심은 지난 세기 사복음서의 역사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학자들의 연구방향을 비판적으로 돌아본 후, 역사적 예수를 탐구하는데 있어서 사복음서와 2성전시기 유대주의 그리고 그리스-로마라는 상황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 연구 조사할 것이다. |
 |
·바울과 기독교 Paul and Christianity |
유대교 시절의 바리새인과 다메섹 사건 이후의 그리스도인의 바울의 비교연구로서 바울은 유대교를 계승하면서 기독교로의
전환했는가? 아니면, 유대교와 결별을 선언하고 기독교로 전환했는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
 |
·바울 복음의 기원 The Origin of Paul's Gospel |
바울의 복음은 발전하고 있는가? 아니면 다메섹에서 모든 것을 다 이루었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다메섹 사건의 성격을
규명하고 바울의 복음이 다메섹의 출발인지, 아니면 발전하는 가운데 변증적 복음이었는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
 |
·바울의 율법관-갈라디아서 vs. 로마서 The law in Paul's thought-the
Letter to the Galatians vs. Letter to the Romans |
많은 학자들이 초기 서신으로서 갈라디아서와 중후반기 서신의 로마서에 나타난 율법이 다른 뉘앙스를 가지면서 다른 율법의
사상의 보인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과연 바울은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에서 다른 율법의 사상을 말하는지, 아니면 같은 사상을 말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
 |
·헬라어 신약성서 주해 Greek New Testament Exegesis |
헬라어 신약성서(사복음서 중 하나)를 담화분석, 역사적, 문학적 도구를 이용하여 주해할 것이다 |
 |
·로마서 연구 Study of the Letter to the Romans |
로마서의 해석에서 개혁주의적 관점으로의 해석으로서 칼빈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시점에서 좀 더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칼빈의 문제점과 로마서에 나타난 저자의 의도를 심도있게 연구하기 위한 과목이다. |
|
실천신학 박사과정(PH,D,) 필수과목 및 해설
|
·설교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Preaching |
성경과 기독교 역사에서 나타난 설교의 이론들과 전달의 방법들을 살펴본 후에 현대 교회의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연구하는 과목이다. |
 |
·개혁신학과 설교 Reformed Theology & Preachi |
대표적인 개혁신학자들인 칼빈과 핫지, 워필드 등의 설교들을 연구하여 장단점을 살핀 후에 어떻게 현대교회에 적용해야
하는지 검토하는 과목이다. |
 |
·강해설교 연구 Study of Expository Preaching |
본문의 역사적 문법적 문학적 이해를 통해 드러난 성경의 진리들을 어떻게 찾아내고, 그 진리에 대한 묵상을 통해 설교자
자신과 청중들에게 전달할 성령의 음성을 어떻게 듣고 어떻게 전달하는지 실제적으로 설교를 작성하며 연구하는 과목이다. |
 |
·현대문화와 종교 Modern Cultures & Religions |
현대 한국사회에 가장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화와 종교들을 살펴보고 한국교회의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
 |
·동 서양 철학과 기독교 변증론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
Christian Dialectics |
기독교이든 비기독교이든 그들의 사상에 뿌리 깊게 영향을 주고 있는 동서양의 철학의 기본 흐름들을 이해하여 성경진리의
변증과 함께 더 나아가 전도와 양육의 방법론을 살피는 과목이다. |
 |
·교회교육과 교리 |
현대교회의 주일학교 교육에서 사라진 교리교육을 어떻게 현실에 맞게 다시 적용해야 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기독교교육의
역사에서 드러난 교회교육의 문제점들과 개혁신학의 교리교육의 전통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살펴보는 과목이다. |
 |
·기독교상담의 이론과 방법 Theories and Methods of Christian
Counseling |
연구되어진 기독교 상담의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이 무엇인지와 현 한국교회의 성도들에게서 일어난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살쳐보고 어떻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는지 연구하는 과목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