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윤만 부교수 |
전공 : 신약신학 |
연구실 : 053-810-0749 |
E-Mail : ashiralaadonai_3@hotmail.com |
|
[ 학력 및 학위 ]
영남대 영어영문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
영국 University of Surrey Roehampton(M.A.)
캐나다 University of Toronto(T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연구
- “거울로 봄(katoptrizo,menoi)이 가져온 변화(metamorfou,meqa) - 고후 3:18에 대한 종말론적 해석.” 「신약연구」 23.1 (2024):123-158
- “롬7:14-25의‘나’(evgw/,에고)의정체성-죄에종노릇한다(douleu,w,25b)는 에고를 중심으로.”「신약연구」22.1 (2023)
- “개혁주의 성경해석의 뿌리와 적용: 칼빈의 성경해석의 원리를 중심으로”, 개혁신학 정체성 세우기 제106회기 총학신학정체성 선언준비위원회 연구보고서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22): 258-294.
- “고대 유대인들은 어떤 방식으로 이방인들과 식탁교제를 가질 수 있었는가? - 제2성전시기 (200 BCE-200 CE)의 유대 문헌에 등장하는 식사 연구”, 「신약연구」 21/1 (2022): 7-34
- "신약성경에 사용된 헬라어 부사적 분사의 화용적 의미 결정에 대하여", 「신약연구」 20.1 (2021) : 39-75
- 고난 받는 인자에 대한 "기록"-막 9:12와 4:21에 드러난 예수의 구약사용 연구- 「신약연구」 19/1 (2020): 77-108
- 『믿음의 은유와 환유』, 「신약연구」 18권1호 (2019): 7-41.
- "초기(기원후 2-3세기) 교회의 성경 책 이해 - 코덱스(Codex) 선호의 배경과 의미" 「신약연구」 17권1호 (2018) : 7-38
- "예수의 두 얼굴-마가복음의 고기독론 연구", 「신학연구」 16/1 (2017) : 35-69
- "예수, 총체적 종말론적 구원자: 마가복음의 예수의 치유와 축귀 그리고 죽음을 중심으로", 「성경과 신학」 77 (2016) : 261-290
- "예수의 구약해석-마가복음을 중심으로" 「신약연구」 2015년 14권 1호
- "예수의 죄 용서 선언에 드러난 자기이해-가버나움 집에서 죄 용서 선언(막 2:1-12)을 중심으로" 「신약논단」 2014년 21권2호
- "추론(Inference)에 기초한 신약성경 본문 읽기" 「성경과 신학」 2013년 4월 66권
- "Is Paul a Rhetorician? - An Evaluation based on Paul's Own Biographical Statements" 「신약연구」 2012년 11권 2호
- 응집성과 문단 : 틀 의미론(frame semantics)에 기초한 마가복음 1:16-20연구, 「성경과 신학」 제58권, 2011.
- 헬라어 동사상과 빌레몬서 담화 처리, 「신약연구」 제10권 4호, 2011.
- 신약성서 본문(text)의 문맥(context)에 대한 인지 언어학적 고찰, 「Canon & Culutre」 제3권 1호, 2009.
- 마가의 구술 - 청각적 서사(Mark’s Oral and Aural Narrative) 이해를 위한 인지모형(Cognitive Model)으로서 틀 이론(frame theory), 「신약연구」 제7권 4호, 2008.
* 저서
- 『땅, 사람, 역사에 난 하늘 발자국』, (서울: 감은사, 2023)
- 그 틈에 서서 (서울: 죠이북스, 2020)
- 마가복음, 길 위의 예수 그가 전한 복음. 개정 증보판 (서울: 감은사, 2021[초판 2017])
- 신약성경언어의 의사소통 기술(서울:그리심, 2013)
- Mark’s Memory Resources and the Controversy Stories(Mark 2:1-3:6) ; An Application of the Frame Theory of Cognitive Science to the Markan Oral-Aural Narrative, Leiden/Boston:Brill, 2010.
|
|
 |
박세홍 조교수/교목 |
전공 : 실천신학 |
연구실 : 053-810-0801 |
E-Mail : gospelguy@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대신대학교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Eq.)
에스라대학원대학교(Th.M.)
|
|
 |
이병일 조교수 |
전공 : 조직신학 |
연구실 : 053-810-0730 |
E-Mail : binthing@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Eq.)
총신대 일반대학원(Th.M.)
총신대 일반대학원(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구 프린스턴 신학의 성경관 연구 (박사학위)
(논문)
-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변증적 교리 설교의 필요" 「생명과말씀」 제23권(2019년 No1): 229-260.
- "잔 그레스햄 메이천(J. Gresham Machen)의 성경관과 변증" (한국복음주의 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36(2020)):60-81
- "비(非)중생자의 선행에 관한 이중적 이해의 필요" 「개혁논총」 제64권(2023년 6월): 127-156.
-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의 성경관에 대한 잭 로저스(Jack B. Rogers)와 도널드 맥킴(Donald K. McKim)의 비판에 관한 연구" 「개혁논총」 66권(2023년 12월): 87~119.
|
|
 |
이승우 조교수 |
전공 : 실천신학(설교학) |
연구실 : 053-810-0748 |
E-Mail : imaprince@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영남대 경제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
남아공 University of Stellenbosch(Th.M.)
University of Stellenbosch(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연구
이승우, “전달력 있는 설교를 위한 제언: 본문 해석 강화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68 (2024): 233-259.
이승우, “인공지능의 설교 활용에 관한 연구: 챗GPT를 중심으로”, 「개혁논총」 64(2023) : 233~257.
이승우, “소외효과의 설교학적 함의 연구”, 「신학논단」 109(2022) : 83~108.
이승우, “‘코로나 블루’ 시대에 설교의 역할과 방향 제언”, 「개혁논총」 59(2022) : 111~141.
이승우,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성찬에 관한 연구”, 「복음과실천신학」 61(2021) : 104~131.
이승우, “설교에서 인식의 자동화와 습관화 극복을 위한 제언 : 설교 내용을 중심으로”, 「복음과실천신학」 58(2021), 193-221.
이승우, “종교개혁자들의 예배개혁에 대한 고찰과 적용”, 「개혁논총」 51(2020), 85-114.
이승우, “설교에서의 청중참여를 위한 실천적 제언”, 「신학논단」 97(2019), 155-185.
이승우, “설교 사역에서 지나친 설교자의 인격 강조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개혁논총」 48(2018), 105-127.
이승우, 세대통합예배에서의 설교에 관한 연구, 복음과실천신학 46 (2018), 169-201.
이승우, 설교자의 스트레스 및 탈진의 원인 분석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언들, 복음과실천신학 45 (2017), 131-162.
이승우, 문학이론인 “낯설게 하기”의 설교학적 적용: 설교전달을 중심으로, 복음과실천신학 43 (2017), 44-78.
* 저서
이승우, 『10강으로 끝내는 설교학(이론편)』 (서울: CLC, 2024).
|
|
 |
오정환 조교수 |
전공 : 신약신학 |
연구실 : 053-810-0804 |
E-Mail : jhwan75@gmail.com |
|
[ 학력 및 학위 ]
한양대 철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
University of Stellenbosch (Th.M.)
University of Stellenbosch (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상호적 후견인-피후견인 관계와 바울의 기독론 이해: 빌레몬서를 중심으로.” 「피어선 신학 논단」 12/2 (2023): 35-61.
- “고린도 교회를 통해 본 한국교회: ‘명예와 수치’의 관점에서.” 「피어선 신학 논단」 9/1 (2020): 5-27.
- 오정환·박성환, “소송본문(고전 6:1-11)에 대한 바울의 윤리적 이해: 고린도전서 5:1-13과 6:12-20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생명과 말씀」 22(2018): 55-81.
* 공역 - 성경신학적 신약개론 (부흥과 개혁사, 2017)
- "빌레몬서에 나타난 오네시모의 정체성에 대한 바울의 이해 연구", 신학지남 제83권 2집 (2016): 297-323
- "바울의 종말론적 관점에서 본 소송본문(고린도전서 6:1-11) 이해", 교회와 문화 34 (2015): 169-189
|
|
 |
김찬영 조교수 |
전공 : 조직신학 |
연구실 : 053-810-0732 |
E-Mail : kcycyk@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
총신대 일반대학원(Th.M.)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마이클 호튼의 언약신학(CLC, 2018)
- “마이클 호튼의 소명과 중생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 직접적인 중생 개념은 부적절한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92 (2019)
- “우연과 필연에 대한 루터와 칼빈의 이해 비교”, 조직신학연구 34 (2020)
- “조나단 에드워즈의 개혁파 양립주의 : 필연과 우연에 대한 에드워즈의 견해”, 「갱신과 부흥」 31 (2023)
번역서
- 『언약과 구원론』 (CLC, 2020[공역])
- 『오직 그리스도』 (부흥과개혁사, 2018)
-개혁주의 스터디 바이블(부흥과개혁사, 2017[공역])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2권, 의지의 자유(부흥과개혁사, 2016)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4권, 원죄론(부흥과개혁사, 2016)
-개혁파 교의학(헤르만 바빙크 개혁교의학 축약본)(새물결플러스, 2015[공역])
-한 권으로 읽는 워필드 신학(부흥과개혁사, 2014)
-장로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부흥과개혁사, 2012)
-개혁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부흥과개혁사, 2012)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부흥과개혁사, 2012)
-스위니 교수의 조나단 에드워즈 핵심 강의 시리즈 2~5(부흥과개혁사, 2012)
-칼빈과 복음주의 신학(부흥과개혁사, 201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해설 1~3(부흥과개혁사, 2011[공역])
|
|
 |
김병희 조교수 |
전공 : 역사신학 |
연구실 : 053-810-0741 |
E-Mail : johntree@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구약전공)
계명대학교 사학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M.A)
계명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논문)
“성경에 나타난 계약의 통일성에 관한 연구”(신학대학원, 1992)
“19世紀末·20世紀初 濟州農民抗爭 연구”(석사학위, 1996)
“劉載奇의 예수촌思想과 農村運動”(박사학위, 2008)
“최상림 목사의 목회생활과 신사참배 거부운동” 「대구교회사학」3 (대신대학교 부설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2012)
“초기 대구·경북 지역 전도부인에 관한 연구” 「대구교회사학」7 (대신대학교 부설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2014)
“농촌계몽운동가 목사 배은희” 「인물로 보는 근대 대구의 역사와 문화」(대구광역시(대구문화재단) 대구역사문화연구소, 2018)
“의성지역 농우회 사건과 주기철 목사 검속” 「장로교 역사와 신앙」창간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역사위원회, 2018)
“용정 지역 3·1운동과 기독교” 「東北亞 歷史와 文化」(중국연변대학교, 2018)
“초기 한국 장로교 대구·경북지방 조사의 역할과 활동” 「역사신학논총」 36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20)
“한국전쟁 당시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피해와 활동” 「영산신학저널」 54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초대 대구·경북지역 장로교의 전도부인 양성과 활동” 「갱신과 부흥」 30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북간도 지역 3·1운동 연구: 용정 지역 기독교 민족운동세력의 성장을 중심으로” 「역사신학논총」 40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장로교 진흥운동에 관한 연구: 1920년대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갱신과 부흥」 32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저서)
『한글로 번역한 慶北敎會史』(도서출판 영한, 2004)
『慶北敎會史』(코람데오, 2004)
『朴德逸 歷史』(도서출판 영한, 2006)
『대구·경북선교의 아버지 안의와-겨자씨 속에 담은 천국』(소통, 2009)
『세대를 뛰어넘는 경계인-虛心 劉載奇 牧師 遺稿集』(예영커뮤니케이션, 2011)
『대구성광교회 60년사』(대구성광교회 60년사 편찬위원회, 2011)
『대구·경북 조사인물편람』(대신대학교 기독교역사문화연구소, 2013)
『대구中노회 30년사』(명도디자인, 2016)
『대경노회 백년사』(도서출판 하늘서원, 2018)
『구천교회10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 구천교회, 2022)
『박덕일 일기』 (도서출판 하늘서원, 2023)
|
|
 |
이필형 조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연구실 : 053-810-0750 |
E-Mail : hyoung44@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호원대학교 경영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Eq.)
Philippine Christian University(M.A)
Philippine Christian University(D.Ed)
[ 연구 및 발표 ] - 보기
[ 연구 및 발표 ] - 숨기기
- 한국교회의 주일학교 부흥에 관한 연구(석사 논문)
- Effects of Activities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Listed Enterprises
(기업의 학습조직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박사 논문)
- 예배와 삶 (도서출판 하늘 2019)
- 성경공부교재
1. 행복 안내서
2. 교회란 무엇인가?
- 강해설교집
구약강해 : 나훔, 다니엘, 룻, 미가, 오바댜, 요나, 나훔, 학개, 하박국, 에스라, 스가랴, 요엘, 느헤미야, 말라기
신약강해 : 누가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에베소서, 야고보서, 갈라디아서
|
|
 |
임종구 조교수 |
전공 : 역사신학 |
연구실 : 053-810-0751 |
E-Mail : pastorjglim@gmail.com |
|
[ 학력 및 학위 ]
대신대 신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Eq.)
총신대 일반대학원(Th.M.)
총신대 일반대학원(Ph.D.)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학위논문
“칼빈의 소유의 개념과 경건사상.” 석사학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제네바목사회(1536-1564)에 따른 칼뱅의 활동과 신학에 대한 고찰.” 박사학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학술등재지(KCI)논문
“RCPG를 통해 본 16세기 제네바교회 목사임직 연구.”「갱신과 부흥」20 (2017):
“한국장로교회 초기 직분론 고찰: 1891-1934년까지의 헌법 변천을 중심으로.”「갱신과 부흥」30 (2022): 261-291.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 비교연구:츠빙글리와 칼뱅으로 중심으로.”「신학논단」110 (2022):221-258.
“한국장로교회 여성안수 논쟁사 연구.”「한국개혁신학」79 (2023)
“통일과제로서의 갈등극복 사례연구:칼뱅의 제네바 사역을 중심으로.”「기독교와 통일」24-2 (2023)
각종논문
“세계개혁교회의 현황과 교단교류의 방향.”「세계주요장로교단연구」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2018.
“4차산업혁명과 총회교육.”「한국교회 미래전략포럼」대한예수교장로회 교육진흥원, 2018.
“칼뱅과 현대목회.”「교회를 위한 신학포럼」교회를 위한 신학포럼, 2018.
“개혁신학과 성경.”「종교개혁기념 학술제」대신대학교, 2019.
“이것이 장로교회다.”「전국목사장로기도회」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2019.
“교회개혁실천연대 연구보고서.”「개혁신학과 21세기정황」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신학부, 2019.
“여성안수에 대한 개혁신학 입장.”「개혁신학과 교회」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신학부, 2020.
저서
『칼빈과 제네바목사회』서울:부흥과개혁사,2015.
『단단한 교회』서울:국제제자훈련원,2018.
『강구가다』서울:홍림,2019.
『설교자의 인생』서울:다함,2022.
『기독교강요 핵심강독설교』서울:세움북스,2023.
공저
『종교개혁은 제자훈련으로 시작한다』서울:국제제자훈련원,2017.
『전염병과 마주한 기독교』서울:다함,2020.
『교회통찰』서울:세움북스,2020.
|
|
 |
문배수 조교수 |
전공 : 신약신학 |
연구실 : 053-810-0803 |
E-Mail : fauster@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총신대학 신학과
총신신대원(목회학-M. Div. Eq.)
총신일반대학원(Th. M.)
독일 에베하르트 칼스 튀빙엔 대학(Eberhard Karls Tuebingen)
신약박사 (Th. D.)
[ 연구 및 번역 ] - 보기
[ 연구 및 번역 ] - 숨기기
논문
문배수, 허 근, “바울의 아레오바고 설교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신학과 실천」 87, 2023, 111-140.
문배수, “교회와 전통: 교회가 전통이 될 수 있는가?”, 「성경과 신학」 106, 2023. 1-31.
알렉산드리아 필로/문배수 역, “명상의 삶에 대하여 또는 보호받기를 구하는 자들에 대하여”, 부경교회사 연구, 부산경남기독교역사연구회, 2022, 11.
문배수,“필로의 기록을 통해 본 ‘치유파(θεραπευται)에 관한 연구, 「신약연구」 67, 2022. 415-445.
헤르만 리히텐베르거/문배수 역, "쿰란문서에서의 부활" In: 「신약연구」, 2020. 03. 233-250.
마틴 루터/문배수 해설 및 역, "루터가 쓴 자기 소개서에 대한 생각" In: 한국교회와 개혁신학, 카리타스 2013. 589-601.
역서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문배수역, 필로의 십계명 총론 –명상의 삶, 농업,거인에 대한 글 추가-, 한들출판사 2023.
취리히 성경해설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대한성서공회 2021(사도행전 번역)
헤르만 리히텐베르거/문배수 외 3인 역, 『초기 유대교와 신약의 교회』, 씨엘씨 2020.
아돌프 쉬라터/문배수 역, 『예수와 바울』, 다도해 2019.
[저서]
학위논문: Jüdische Tradition und hellenistische Bildung: Forschungsgeschichtliche und exegetische Untersuchung zu Apg 15 und 17, Tuebingen 2013.
문배수, 『복음 바울에게 묻다 다른 복음은 없나니』, 한들 2020.
|
|
 |
오민수 조교수 |
전공 : 구약신학 |
연구실 : 053-810-0802 |
E-Mail : amicitiadl@naver.com |
|
[ 학력 및 학위 ]
총신대학교 신학과(M.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독일 Christian-Albrecht-Universitaet zu Kiel(Diplom)
독일 Christian-Albrecht-Universitaet zu Kiel(Dr. Theol.)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연구(KCI 논문)
- “구약성경 지혜의 문화적 보편성과 주제적 연계성”, 「주안신학논단」(미등재지) 1/1, 2024년 2월 28일, 156-183.
- “문서기록에 남겨진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 - 예언자 평가에 대한 사회사적 문헌사적 접근”, 「구약논단」 29권 4호, 2023년 12월 31일, 11-40.
-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구약논단」 29권 1호, 2023년 3월 31일, 329-365.
- “동물, 사회생태계의 급진적 정황 변화의 주역(출 23장 4-5절 접근)”, 「구약논단」 제28권 1호, 2022년 3월 31일, 158-187.
-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구약논단」 27권 3호, 2021년 9월 20일, 40-71.
- “전도서 3장 10-15절의 동사구문론과 의미론적 접근”, 「성경원문연구」 48, 2021년 4월 20일, 93-128.
- “다시 생각하는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 – 성경 외의 고대 근동 기록유물과 민족 지칭법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 46, 2020년 12월 31일, 9-39.
- “오경의 간음금지 규례로 살펴본 여성권과 그 사회-역사적 의의”, 「구약논단」 제25권 4호, 2019년 12월 31일, 160-190.
- “Ausdrucksmöglichkeiten der iterativen/generelen Sachverhalte mit einigen Bibelstelen inder Fügung weqatal im Buch Kohelet”, 「성경원문연구」제4호, 2019년 4월 30일, 182-215.
- “호세아 6장 7절: ‘아담처럼?’ 또는 ‘아담에서처럼?’ - 히브리어 전치사 Ke의 의미론적용법,” 「구약논단」 제25권 1호, 2019년 3월 31일, 183-212.
- “동사 구문론과 결합가 이론으로 살펴본, 전도서 12장 9-10절의 해석학적 조명,” 「구약논단」 24집 3호, 2018년 9월 30일, 1-16.
- “초사법적 화해의 장: 동물보호규례 – 출 23장 4-5절과 그 맥락,” 「구약논단」 23집, 2017년 6월 30일, 43-71.
- “고전 히브리어의 노에틱적 해설과 그 적용―욥기 1:1-5―,” 「성경원문연구」 제40호, 2017년 4월 30일, 30-51.
- “전도서 10장 1절 이해와 그 현대적 교훈: 위기사회의 지혜,” 「구약논단」 23집, 2017년 3월 31일, 74-102.
- “잠언과 전도서에 나타난 지혜프레임 스케치: 잠언 24:10-12절과 전도서 4:7-9절을 중심으로,” 「구약논집」 1집, 2016년 6월 20일, 19-124. / 등재후보
- “지혜문학적인 역사서술: 다윗의 왕위계승사(삼하 9장-왕하 2장*),” 「구약논단」 제21권 4호(통권 58집), 2015년 12월 31일, 74-101.
- “지혜전통의 계승과 혁신: 전도서에 사용된 이른바 "서술형 사고패턴"의 유래에 대한 소고,” 「구약논단」 제20권 4호(통권 54집) 2014년 12월 31일, 281-308.
- “Überlegungen zu Denk-und Redeinleitung mit dem Verb 'amr in Prov und Koh: EinBeitrag zur Erhelung der weisheitlichen Denkstruktur in AT,” 「성경원문연구」 제34호, 2014년 4월 30일, 22-246.
- “구약성경으로 재조명해 본 다문화 담론,” 「한국사회복지교육」 21집, 2013년 3월 31일, 1-18.
* 저서
- 오민수 역,『간추린 고대 이스라엘 역사』(Bernd U. Schipper) (서울: CLC, 2024)
- 오민수, “복음적 직업과 경제윤리의 실례 - (EEK) 직업과 경제”,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3)
- 오민수, 『성경과 몸의 상징학』 (서울: CLC, 2023)
- 오민수, 『전도서 연구 – 생의 예찬과 희락, 경외의 책』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3)
- 오민수 역, 『성경의 몸의 상징학』(S. Schroer/T. Staubli) (서울: CLC, 2022)
- 오민수, 『고대근동 고대사와 이스라엘의 역사』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2)
- 오민수, 『지고, 지선, 지미』 아가서 주해와 설교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1)
- 오민수, “동물보호(출23,4-5) - 사회의 급진적 정황 변화의 주역로서의 가능성”, 『성서, 생태위기에 답하다』(책임편집: 박성철)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1),
- 오민수·김옥기 공역, 『꾸밈없는 사람들:고대 자료와 성경 속에 나타난 심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E. Kelenberger) (서울: CLC, 2021)
- 오민수, “교파주의 차별에 대한 비평적 접근: 사마리아 제의분리의 성경증언 관점에서”, 『혐오를 부르는 이름, 차별』(책임편집: 박성철)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0),
- 정일웅·오민수 공역, 『세상에서의 삶:윤리』(Evangelischer Erwachener Katechismus) – (서울: 범지사, 2019)
- 오민수, “구약성경의 장애 스펙트럼과 그 이해 범주들,” 『장애인사역의 신학적 의의』 이재서 외 공저 (서울: 세계밀알, 2018), 13-14.
* 연구재단 사업참여
2023.05–2025.04 NRF 명저번역지원사업(2023S1A5A7083363).
- B. 야노브스키, Anthropologie des Alten Testaments(구약성경의 인간학) 번역.
2022 DFG(독일연구재단) 명저번역지원
- B. 쉬퍼, Geschichte Israels in der Antik(고대시대 이스라엘의 역사) 완역
2020.04-2022.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20S1A5A8043022).
-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2019.05-2020.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19S1A5A8038700).
- 이스라엘의 자인식에서 다시 읽는 선택과 열방이해
2018.05-2019.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18S1A5A8027840).
- 간음금지 규례와 오경의 여성권, 그리고 그 사회-역사적 의의
|
|
|
 |
박용규 조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연구실 : 053-810-0803 |
E-Mail : pyonggyu@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총신대학 신학대학원 (M.Div)
계명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미술사학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Min)
[ 연구 및 저서 ] - 보기
[ 연구 및 저서 ] - 숨기기
· 기독교 영성을 회복하라
· 사도행전, 야고보서 강해
|
|
명예교수 |
|
 |
박충웅 명예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mun7841@hanmail.net |
|
|
석좌교수 |
|
 |
옥성석 석좌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ocks1119@hanmail.net |
|
[ 학력 및 학위 ]
고신대학교 신학과(B.A)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졸업(M.Div)
Fuller Theological Seminary (D.Min)
|
|
 |
남서호 석좌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nam1020@unitel.co.kr |
|
[ 학력 및 학위 ]
Faith Theological Seminary B.Th.
Liberty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Th.M.
Ashland Theological Seminary D.Min(pastor counseling).
Bethany Divinity College and Seminary Ph.D.
|
|
 |
양대식 석좌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
|
[ 학력 및 학위 ]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졸업
- 목회학 박사
- 미국 Judson university 명예신학박사
|
|
특임교수 |
|
 |
이동관 특임교수 |
전공 : 구약신학 |
연구실 : 053-810-0804 |
E-Mail : joseph492226@naver.com |
|
|
|
 |
이도형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wvision@hanmail.net |
|
|
|
 |
박창식 특임교수 |
전공 : 역사신학 |
E-Mail : csp0612@hanmail.net |
|
|
|
 |
이광운 특임교수 |
전공 : 영어설교 |
E-Mail : kwlee@cu.ac.kr |
|
|
|
 |
심상우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sjssjs3927@naver.com |
|
|
|
 |
정은희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hee273849@gmail.com |
|
|
|
 |
정주환 특임교수 |
전공 : 신약신학 |
E-Mail : jjh79_10@hanmail.net |
|
|
|
 |
최영인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dojo12@hanmail.net |
|
|
|
 |
김인식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kispd@hanmail.net |
|
|
|
 |
장영일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선교신학) |
E-Mail : sandolmission@hanmail.net |
|
|
|
 |
박윤현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70jesus@hanmail.net |
|
|
|
 |
이재성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jsangdam@daum.net |
|
|
|
 |
김종호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kjh37happy@hanmail.net |
|
|
|
 |
주건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donamjoo@gmail.com |
|
|
|
 |
지경규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johnluke@hanmail.net |
|
|
|
 |
민병욱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minpray@naver.com |
|
|
|
 |
이억주 특임교수 |
전공 : 조직신학 |
E-Mail : onnuri8497@nate.com |
|
|
|
 |
김효창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 |
E-Mail : khc1225@hanmail.net |
|
|
|
|
 |
박노진 특임교수 |
전공 : 실천신학(기독교 교육) |
E-Mail : ppcpark@hanmail.net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