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력 및 수상 ]▲연구(KCI 논문)
- “구약성경 지혜의 문화적 보편성과 주제적 연계성”, 「주안신학논단」(미등재지) 1/1, 2024년 2월 28일, 156-183.
- “문서기록에 남겨진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 - 예언자 평가에 대한 사회사적 문헌사적 접근”, 「구약논단」 29권 4호, 2023년 12월 31일, 11-40.
-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구약논단」 29권 1호, 2023년 3월 31일, 329-365.
- “동물, 사회생태계의 급진적 정황 변화의 주역(출 23장 4-5절 접근)”, 「구약논단」 제28권 1호, 2022년 3월 31일, 158-187.
-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구약논단」 27권 3호, 2021년 9월 20일, 40-71.
- “전도서 3장 10-15절의 동사구문론과 의미론적 접근”, 「성경원문연구」 48, 2021년 4월 20일, 93-128.
- “다시 생각하는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 – 성경 외의 고대 근동 기록유물과 민족 지칭법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 46, 2020년 12월 31일, 9-39.
- “오경의 간음금지 규례로 살펴본 여성권과 그 사회-역사적 의의”, 「구약논단」 제25권 4호, 2019년 12월 31일, 160-190.
- “Ausdrucksmöglichkeiten der iterativen/generelen Sachverhalte mit einigen Bibelstelen inder Fügung weqatal im Buch Kohelet”, 「성경원문연구」제4호, 2019년 4월 30일, 182-215.
- “호세아 6장 7절: ‘아담처럼?’ 또는 ‘아담에서처럼?’ - 히브리어 전치사 Ke의 의미론적용법,” 「구약논단」 제25권 1호, 2019년 3월 31일, 183-212.
- “동사 구문론과 결합가 이론으로 살펴본, 전도서 12장 9-10절의 해석학적 조명,” 「구약논단」 24집 3호, 2018년 9월 30일, 1-16.
- “초사법적 화해의 장: 동물보호규례 – 출 23장 4-5절과 그 맥락,” 「구약논단」 23집, 2017년 6월 30일, 43-71.
- “고전 히브리어의 노에틱적 해설과 그 적용―욥기 1:1-5―,” 「성경원문연구」 제40호, 2017년 4월 30일, 30-51.
- “전도서 10장 1절 이해와 그 현대적 교훈: 위기사회의 지혜,” 「구약논단」 23집, 2017년 3월 31일, 74-102.
- “잠언과 전도서에 나타난 지혜프레임 스케치: 잠언 24:10-12절과 전도서 4:7-9절을 중심으로,” 「구약논집」 1집, 2016년 6월 20일, 19-124. / 등재후보
- “지혜문학적인 역사서술: 다윗의 왕위계승사(삼하 9장-왕하 2장*),” 「구약논단」 제21권 4호(통권 58집), 2015년 12월 31일, 74-101.
- “지혜전통의 계승과 혁신: 전도서에 사용된 이른바 "서술형 사고패턴"의 유래에 대한 소고,” 「구약논단」 제20권 4호(통권 54집) 2014년 12월 31일, 281-308.
- “Überlegungen zu Denk-und Redeinleitung mit dem Verb 'amr in Prov und Koh: EinBeitrag zur Erhelung der weisheitlichen Denkstruktur in AT,” 「성경원문연구」 제34호, 2014년 4월 30일, 22-246.
- “구약성경으로 재조명해 본 다문화 담론,” 「한국사회복지교육」 21집, 2013년 3월 31일, 1-18.
저서
- 오민수 역,『간추린 고대 이스라엘 역사』(Bernd U. Schipper) (서울: CLC, 2024)
- 오민수, “복음적 직업과 경제윤리의 실례 - (EEK) 직업과 경제”, 『현대사회와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3)
- 오민수, 『성경과 몸의 상징학』 (서울: CLC, 2023)
- 오민수, 『전도서 연구 – 생의 예찬과 희락, 경외의 책』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3)
- 오민수 역, 『성경의 몸의 상징학』(S. Schroer/T. Staubli) (서울: CLC, 2022)
- 오민수, 『고대근동 고대사와 이스라엘의 역사』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2)
- 오민수, 『지고, 지선, 지미』 아가서 주해와 설교 (고양: 이름북하우스, 2021)
- 오민수, “동물보호(출23,4-5) - 사회의 급진적 정황 변화의 주역로서의 가능성”, 『성서, 생태위기에 답하다』(책임편집: 박성철)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1),
- 오민수·김옥기 공역, 『꾸밈없는 사람들:고대 자료와 성경 속에 나타난 심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E. Kelenberger) (서울: CLC, 2021)
- 오민수, “교파주의 차별에 대한 비평적 접근: 사마리아 제의분리의 성경증언 관점에서”, 『혐오를 부르는 이름, 차별』(책임편집: 박성철)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0),
- 정일웅·오민수 공역, 『세상에서의 삶:윤리』(Evangelischer Erwachener Katechismus) – (서울: 범지사, 2019)
- 오민수, “구약성경의 장애 스펙트럼과 그 이해 범주들,” 『장애인사역의 신학적 의의』 이재서 외 공저 (서울: 세계밀알, 2018), 13-14.
연구재단 사업참여
2023.05–2025.04 NRF 명저번역지원사업(2023S1A5A7083363).
- B. 야노브스키, Anthropologie des Alten Testaments(구약성경의 인간학) 번역.
2022 DFG(독일연구재단) 명저번역지원
- B. 쉬퍼, Geschichte Israels in der Antik(고대시대 이스라엘의 역사) 완역
2020.04-2022.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20S1A5A8043022).
- 구약성경과 고대 오리엔트 문화 맥락 속에 남겨진 장애아(동)의 출생, 성장, 고용의 흔적
2019.05-2020.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19S1A5A8038700).
- 이스라엘의 자인식에서 다시 읽는 선택과 열방이해
2018.05-2019.04 NRF 신진연구자지원사업(2018S1A5A8027840).
- 간음금지 규례와 오경의 여성권, 그리고 그 사회-역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