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교회실용음악학부 교과목해설표
교회실용음악학부 교과목해설표
(2024.03.기준 / 가나다 순)
음악 / 전공 수업
이수
구분
교과목
해설
전공
필수
전공실기 1, 2, 3, 4, 5, 6, 7, 8
(Major Performance) 
음악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배경으로 하여 실제악곡을 창작하는 실습과목으로 각 학년 각 
학기마다 여러 가지 과제가 주어진다. 
졸업연주
(Graduation Concert) 
학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과정으로써 각 전공별 4년간 배우고 익힌 것을 4학년 2학기에 
연주회 형식으로 진행한다. (4학년 필수)
전공
선택
가창 1, 2, 3, 4, 5, 6
(A Song)
올바른 호흡과 발성에 대해서 공부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란 어떠한 것이며, 딕션을 
포함하여 노래를 부를 때의 기능적인 면을 공부하는 과목으로, 한국가곡을 비롯하여 
이태리, 독일 등 세계의 유명한 곡들을 함께 불러 봄으로서 다양한 곡들을 익힘과 동시에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한다.
건반화성Ⅰ
(Keyboard Harmony)
선율만의 곡을 화성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반주 및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준다.
교회음악실습 1, 2
(Practical traning for
Church Music)
교회음악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개진하고, 기독교 신앙의 구체적 발현이자 예배의 
중심요소인 음악과 교회와의 구심적 연관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논의한다. 또한 
교회의 찬양예배인도자와 전문적인 음악사역을 준비하는 이들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시대를 통찰하는 사역자로 서 가도록 돕는다. 한국 교회에서의 찬양과 음악의 흐름을 
개관하고 향후의 가능성을 전망하되, 실제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한다.
리듬의이해 1, 2
(Understanding Rhythm)
현대대중음악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장르의 리듬패턴을 익히고, 드럼 및 퍼커션은 
물론 기타, 베이스, 건반, 보컬 등 연주자들이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할 다양한 민속리듬에 
대해 실습을 통해 리듬감을 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미디 1, 2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컴퓨터의 가상악기를 이용하여 작곡이나 편곡반주 등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고 있는 미디 
음악은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학습하는 수업으로 최근 실용음악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MR작업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이며 가상 악기와 리듬적인 
악기로 믹스하여 좋은 사운더를 만드는데 목적을 둔다.
발성및딕션연구 1, 2
(Vocalization and
Diction Studies)
이태리, 독어, 불어딕션 클래스는 학생들의 연주를 위해 언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기초적인 문법, 발음, 그리고 발성과 발음의 연결 등을 연구함으로써 각 나라의 곡들을 
연주하는데 표현상의 부족함이 없게 한다.
밴드 앙상블 1, 2, 3, 4, 5, 6, 7, 8
(Band Ensemble)
교회실용음악 합주를 통해 실질적 연주능력을 향상시키고, 일반적 연주형태인 합주 실습을 
통해 개인의 연주능력과 합주능력을 배가시켜 역량 있는 연주가로 훈련하는 과목이다.
보컬테크닉연구 1, 2, 3, 4
(Vocal technique research)
보컬리스트로서 갖춰야 하는 여러가지 테크닉과 자신만의 스타일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수업이다. 개인 또는 팀을 이루어 주제에 맞는 노래를 부르고 더 디테일하게 노래를 
연구하고 적용한다.
보컬퍼포먼스 1, 2, 3, 4
(Vocal performance)
자유로운 보컬 솔로(스캣)를 위한 기초과정이며, 블루스와 코드톤, 텐션, 리듬체인지 등을 
공부하고 리듬과 멜로디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각자의 스타일에 맞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서양음악사 1, 2
(History of Western Music) 
고대, 중세, 고전, 현대 음악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음악의 시대별 특징을 이해하여 음악의 
역사적 흐름을 알게 하여 학생의 전공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
성가지휘법 1, 2
(Hymn Conducting)
지휘는 악보에 담겨져 있는 가사와 음악을 보고 자신의 마음속에 우러나는 작곡자의 
음악적 사상과 표현 방식, 감정 등을 종합하여 음악의 상을 만들고 이를 다시 연주가들을 
통해서 재현해내며 관객과 정신적 소통을 하는 주인공이라고 할 것이다. 지휘자는 굳어 
있는 악보를 "소리"라는 음악적 에너지로 만들어냄으로써 이 행위 자체가 예술적 감동이 
되게 만들어내는 재현자 또는 재생산자라고 표현할 수 있다. 성가지휘는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하나님을 찬양하는 거룩한 노래를 지휘를 통하여 해석하고 표현하게 된다.
송라이팅 1, 2
(Song Writing)
본격적인 싱어-송라이터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기보법, 가사작법, 편곡법 등 음악이론 
전반에 걸친 소양부터 철학, 미학, 종교, 문학 등 음악외적 학문까지를 포괄적으로 
통찰함으로써 작가적 보컬 양성을 위해 개설된 심화과정이다. 예배의 창조성을 회복하고, 
문화의 다양성과 탁월성을 추구하는, 그리스도인 예술가의 노래 만들기. 전문적인 음악 
사역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현대음악에 대한 이해와 깊이 있는 접근을 돕는다.
⚫ 복음의 전달자로서의 자질을 개발한다. 
⚫ 클래식 음악과 팝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 현대 대중음악의 흐름을 이해하고 향후 가능성을 전망한다.
⚫ 가사를 쓰고 곡을 쓰는 실제적인 스킬을 배운다.
전공
선택
실내앙상블 1, 2
(Ensemble 1)
실내앙상블 연주를 통해 시대와 장르마다 다른 주법과 음악적 해석, 그리고 연주 테크닉과 
표현력을 연마한다. 음악인으로서 앙상블 팀웍을 기르며 독주자로서의 역량뿐만 아니라 
조화로운 중주,곡의 형식과 진행등을 학습한다. 
실용음악화성학
(Jazz Harmony)
전공에 구분 없이 음악이론과 음계, 음정, 화음, 선법, 텐션, 보이싱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작곡자, 편곡자, 연주자, 보컬리스트들이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주법 1, 2, 3, 4, 5, 6, 7, 8 
(Recital)
전공실기를 직접 연주를 통해서 전공실기의 기량을 닦아나가는 과목으로 각 학생 졸업 
때까지 4회의 연주를 해야 한다.
예배반주의실제 1, 2
(Understanding Contemporary)
예배반주에 관한 실기수업으로 실제 예배에 필요한 모든 반주부분을 피아노 및 오르간 
반주자 모두에게 초점을 맞추어 교회반주자로서의 자질을 양성하는 수업이다. 이론강의와 
수준별 그룹수업으로 회중찬송반주, 독주연주, 앙상블, 성가합창반주법 등의 교회반주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기술과 역량을 습득하도록 하는 과목이다.
오르간연주법 1, 2 
(Accompaniment of Organ)
예배음악에 필수적인 찬송가 및 성가합창의 반주를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한다.
음악감상과비평
(Listening To Music
And Criticism)
음악은 단순히 듣고 지식을 넓히는 것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듣고 느끼는 것으로서 
음악속에 숨겨진 뜻을 느끼고 이해하며 마음에 새기는 것이라 하겠다. 음악가는 자신의 
연주뿐만 아니라 모든 연주, 되어지는 음악에 대한 감상과 비평을 위한 역량을 지녀야 
한다. 음악감상과 비평 수업은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음악 감상과 비평 학습에 
대한 제반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연주음악에 대한 비평을 
실습을 통해 발전시켜 나간다.
음악이론및시창청음 1, 2
(Music Theory &
Solfage and Ear Traing)
서양음악에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배우고 이해하며 악보를 보고 읽고 이해하며 소리내기를 
통한 음정과 박자 리듬에 관해 익힌다.
음향학 1, 2
(Acoustics 1, 2)
음악 전공자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음향에 대한 지식과 교회에서 찬양팀 및 교회음향을 
운영하는 것에 대해 알기 쉽게 접근하여 음향 엔지니어링에 관한 지식을 쌓는다. 
재즈건반화성
(Jazz Keyboard Harmony)
재즈 화성의 실질적인 학습을 위해 화성을 이해하고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실질적인 접근을 한다. 건반화성을 통해 실질적인 적용을 할 수 있도록 공부하며, 
재즈화성을 더 잘 이해하고, 연주에 적용 할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를 병행한다
재즈음악사 1, 2
(History of Jazz)
재즈의 기원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지역에 따른 재즈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고, 재즈의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스타일에 대해 연구한다. 재즈를 대표하는 뮤지션들의 업적과 
음악에 들어보고 연구하며, 재즈가 대중음악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제2실기 1, 2, 3, 4, 5, 6, 7, 8
(Minor Performance) 
자신의 전공 이외에 다른 전공을 선택하여 실습하며 기량을 닦아나가는 실기 과목이다.
즉흥연주 1, 2
(Improvisation)
현대의 실용음악에서 반드시 필요한 즉흥연주 테크닉을 배우고 합주를 통하여 익힌다. 
건반, 기타, 베이스, 드럼, 관악기의 경우에는 재즈와 다양한 장르에서의 즉흥연주 기법을 
전문적으로 연습하고, 보컬파트의 경우에는 재즈적인 즉흥연주보다는 실용적인 보컬테크닉 
위주의 실습 과정으로 진행한다.
찬송가학 1, 2
(Hymnology)
현재 우리 찬송가를 형성케 된 역사(성경, 서양․한국찬송가)적 배경과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찬송가의 음악적 특성을 연구한다.
피아노반주법 1, 2
(Accompaniment of Piano) 
단순히 독주를 도우기 위한 보조역할의 차원을 넘어서 고도의 예술을 산출하기 위하여 
선율에 따른 반주법을 익숙하게 연주할 수 있게 기초적인 반주에서 고차적인 반주 그리고 
즉흥적 반주를 구사하도록 한다.
컴퓨터음악실습 1
(Computer Music practice 1)
대학 생활에서 필요한 전문 컴퓨터 음악의 활용들을 이론과 실기를 통해 배우고 익히는데 
목적을 둔다.
합주 1, 2, 3, 4, 5, 6, 7, 8 
(Ensemble) 
목관악기, 금관악기로 이루어진 합주형태를 통하여 각 악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악기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며 합주를 통하여 앙상블 능력을 키운다.
화성법
(Harmony) 
18․9세기를 중심으로 화음의 연결 및 제반이론을 통한 작품 이해와 연주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화음의 구조와 연결에 관하여 연구하는 고급화성의 과목으로 작곡능력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해당한다.
C.C.M편곡법 1, 2
(Arranging for C.C.M)
실용음악 스타일이 발달하기 이전에 나온 찬송가를 요즘 스타일로 편곡하거나 다양한 
리듬을 적용한 편곡을 연주한다. 실제로 편곡되는 과정을 밴드 혹은 컴퓨터 음악을 통해서 
실현함으로써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법들을 익힌다.
문화예술교육 수업
이수
구분
교과목
해설
전공
선택
문화예술기획의이해
(Understanding Culture
and Art Planning)
본 교과목은 자신의 전공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목시킨 기획을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들기 위한 목적이 있다. 시대의 발전이 가져다 준 인류 최고의 선물은 
문화생활을 누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많은 문화생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공연문화라 할 수 있다. 공연을 기획하고 창조적인 무대 메커니즘을 만들어 
공연현장에 접목하고 성공적인 기획의 노하우를 축적하도록 한다.
문화예술현장의이해와실습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e and Arts Field)
본 교과목은 문화예술교육사가 현장에 배치되었을 때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체험 및 실습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배워온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질적인 적용을 통해 이론교육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필요에 맞게 개선하여 현장에 대한 이해와 교육 대상자와의 소통을 통해 창의적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체험 및 실습과정이다.
문화예술교육개론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본 교과목은 국가 문화.예술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을 위해 
학습자가 배워야할 가장 기본적인 과목으로 문화예술사가 되기 위해 문화예술의 기초적인 
지식과 기본적인 소양을 학습하기 위한 과목으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문화예술교육사가 해야 할 기본적인 역할을 습득하도록 한다.
음악교수학습방법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본 교과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효과적인 진행을 위해 예술교육전문가의 
역량강화를 위한 과목이다. 다양한 교수모형을 탐색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준비, 계획, 
실행(수업), 평가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교수능력을 길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문화예술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과정을 파악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전략들을 이해한다. 그리고 직접 자신의 음악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교수학습 과정 안을 작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이 교과목은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로서 보다 전문성 있는 
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 교수역량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이론적 기초이해 뿐만 아니라 이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의 중점을 둔다.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Program)
본 교과목은 다양한 음악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음악교육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음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이를 위해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방법을 살펴보고 음악 지도영역별 특징과 교육대상별 차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재교구 
사용의 중요성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수한 음악분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검토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아이디어를 탐색한 후,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시연 발표,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 실제 음악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행 목적에 맞는 음악 
교육프로그램 특성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음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역량을 기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토대로 음악분야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전문적인 음악 교수역량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음악교육론
(Theory Of Music Education)
본 교과는 2급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 교과목으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목적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전문인으로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이를 위하며 음악의 의미, 음악교육의 철학적 심리학적 
기초, 그리고 음악교육 이론들과 같은 음악교육학 전반의 기본 이론학습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의미, 목적, 역할, 기능, 실제 등에 대한 안목과 비전을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을 위한 자신의 교육철학을 형성하고,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음악 분야의 문화예술전문인인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전문인으로서 문화예술교육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여 문화예술교육사로서 구체적인 음악교육에 필요한 교육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