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선교학부 상담영어전공 (영어과정) 교과목 해설
과목명
교과목 해설
영어듣기연습1,2,3,4
(Listening Practice in
 English1-4)
영어듣기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여러 매체를 활용하여 발음과 어휘 그리고 표현 
등을 익힌다.
기초영어말하기 1,2,3,4
(Basic English Speaking)
기초영어말하기 실력을 연마하기 위해서 관련된 문법과 발음교정 그리고 적절한 
단어와 구문을 익힌다.
영어문법회화1,2,3,4
(English Grammar
and Speaking)
기초적인 영어문법패턴을 파악하고 그 패턴을 바탕으로 기초영어회화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영어이야기리딩 1,2,3,4
(Reading Stories in 
English)
영문독해 실력을 연마하기 위해 흥미롭고 유용한 이야기를 텍스트로 하여 
영어표현과 구문, 그리고 글의 구조를 파악한다.
기초TOEIC(Basic TOEIC) 
TOEIC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기본적인 숙어와 단어 그리고 표현이나 패턴을 
습득하고 영어의 기본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TOEIC 시험에 대비한다.
초급 TOEIC
(Basic TOEIC Grammar)
TOEIC 문법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는 기본적인 표현이나 문법패턴을 습득하고 
영어의 기본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TOEIC 시험에 대비한다.
중급 TOEIC (Intermediate 
TOEIC Grammar)
초급 TOEIC을 바탕으로 문법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는 기본적인 표현이나 
문법패턴을 습득하고 영어의 기본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TOEIC 시험에 
대비한다.
기초TOEFL(Basic TOEFL)
TOEFL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기본적인 듣기영역과 영문법 영역을 분석하고 
습득하여 TOEFL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급 TOEFL 
(Basic TOEFL Grammar)
TOEFL 문법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는 기본적인 표현이나 문법패턴을 습득하고 
영어의 기본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TOEFL 시험에 대비한다.
중급 TOEFL (Intermediate
TOEFL Grammar)
초급 TOEFL을 바탕으로 문법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는 기본적인 표현이나 
문법패턴을 습득하고 영어의 기본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TOEFL 시험에 
대비한다
영어독해 1,2,3,4
(English Reading)
영어원서강독을 통해 영어독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계적으로 독해의 
기본원리부터 복잡한 독해과정까지 훈련을 도모한다. 
초급영문법 1,2,3,4
(Basic English Grammar)
영어문법의 기초적인 규칙을 알아보고 영어구문의 이해와 적응능력을 
향상시킨다.
중급영문법1,2,3,4
(Intermediate
 English Grammar1)
5형식의 기본문법에 입각해서 주어, 동사, 술부의 철저한 분석에 의한 문법의 
토대를 완성함으로 영문이해에 완벽을 기한다. 
영어강독1,2,3,4,5,6
(English Reading 1-6)
영어독해의 기본원리 및 독해과정을 단계적으로  공부하여 영어독해능력을 
향상시킨다.
성경영어1,2,3,4
(Bible English)
성경에서 중요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영어로 읽음으로써 영어독해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영어 단어와 유용한 표현 그리고 영어구조
를 숙지할 수 있다.
초급영어회화 (Beginning
 English conversation)
기초적인 문법의 이해와 적절한 단어선택 및 발음교정을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토론, 발표, 포럼식 수업을 진행한다.
일상영어회화1,2 ( Daily
 English Speaking)
직장인과 비지니스에 필요한 실무적인 영어회화를 연마한다.
실무영어회화1,2(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단어와 표현 등을 반복 학습함으로써 원어민과의 일반적
인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영어실력을 연마한다.
시사영어이슈1,2(Reading 
Current Issues in
 English1)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 및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영문기사를 선별하여 그와 관
련된 영어단어와 표현 등을 익히고 시사와 관련된 영어실력을 함양한다.
시사영어리딩
1,2,3,4(Current Issue 
영문일간지와 영어잡지의 기사나 사설을 읽고 토론함으로써 실용영어 향상과 글
로벌 사회의 시사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Reading1,2,3,4)
기초영어프리젠테이션
1,2,3,4(Basic English
 Presentation1,2,3,4)
초보적인 영어로 프레젠테이션하는 기법과 원리를 제공하고 프레젠테이션을 실습
한다. 
초급영어강독1,2,3,4
(Beginner English
 Reading)
초급영어독해의 기본원리 및 독해과정을 단계적으로  공부하여 초급영어독해능력
을 향상시킨다.
스크린영어1 
(Screen English)
대표적인 영미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시사나 다큐멘터리 등을 주제로 한 영상텍스
트를 살펴봄으로써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사회, 역사, 문화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초급영문해석 (Translation
 of Basic English)
다양한 영어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영어독해력을 향상시킨다.
중급영어강독1,2,3,4
(Intermediate English 
Reading)
중급수준에 해당하는 영어독해의 원리 및 독해과정을 단계적으로 공부하여 중급
영어독해능력을 향상시킨다.
미디어영어1,2,3,4
(Media English)
다양한 영어 매체를 활용하여 흥미로운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어휘와 표현들을 
익히며 영어실력을 배양한다.
영어문장구조의이해
(Understanding English 
Sentence Structure) 
학생들이 영어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파악한다.
영어어휘연습
(English Vocabulary 
Practice)
영어 문장을 읽고 쓰는데 필요한 영어어휘를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성경영한번역1,2,3,4
Bible Translation: Korean 
to EnglishI,2,3,4
성경 텍스트를 한국어에서 영어로 번역하는 기술을 학습합니다. 학생들은 성경의 
언어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정확하고 의미 있는 번역을 하는 방법을 익힙
니다. 이 과정은 기초 번역 이론을 다루며, 실제 번역 실습을 통해 이를 적용해
봅니다.
기초번역원리및실습
Principles and Practice 
of Basic Translation
번역의 기초 원리와 실습을 다루는 과정입니다. 학생들은 번역의 기본 이론을 배
우고, 이를 실제 번역 작업에 적용하는 법을 익힙니다. 텍스트 분석, 번역 전략 
선택, 문화적 차이 고려 등의 기본 기술을 학습합니다.
영어글쓰기1,2
(English WritingI,2)
영어로 글쓰기의 기초를 다루는 과정입니다. 문법, 문장 구조, 단락 구성 등의 기
초적인 글쓰기 기술을 학습합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영어로 간단한 에세이와 
글을 작성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일상회화번역기술
Techniques for 
Translating Everyday 
Conversations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회화를 번역하는 기술을 학습합니다. 학생들은 한국어와 
영어 간의 일상적 대화를 효과적으로 번역하는 방법을 배우며,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번역 전략을 익힙니다.
영작및번역문법입문
Introduction to English 
Composition and 
Translation Grammar 
영어 작문과 번역에 필요한 기초 문법을 학습하는 과정입니다. 학생들은 영어 문
장의 구조와 문법 규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번역과 영작을 수행하
는 능력을 기릅니다
영자신문읽기
(Reading English
 Newspaper)
영자신문을 뉴스형식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읽기 및 듣기, 독해 능력을 향상시
켜 각종시험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도록 교육한다.
영미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British 
& American Culture)
영어 사용국과 국내 문화의 관습,가치관,사회제도등을 비교분석하고 이해함으로
써 실용학문으로서의 자료로 활용한다.
비즈니스 통번역의 이해 
(Understanding Business 
Interpretation and 
이 과목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필요한 통번역 기술을 학습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학생들은 상업적 문서와 회의 통번역을 실습하며 실무 능력을 
배양합니다.
Translation)
단어 선택과 문체 연습 , 
(Word Choice and Style 
Practice)
이 과목은 번역에서 적절한 단어 선택과 문체 사용을 연습하여, 상황에 맞는 번
역을 구사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다양한 텍스트 분석과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
신만의 번역 스타일을 개발하게 됩니다.
문화적 언어 이해와 번역
(Cultural Language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이 과목은 언어와 문화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번역에 반영하는 능력을 키우
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생들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번역 방법을 실습합니
다.
졸업논문(Graduate 
Thesis)
소설, 시, 희곡, 언어학에 대한 주제의 논문을 다룬다. 논문작성법에 따라 논문 
작성의 과정, 계획표 작성에 더불어 자료수집, 목록 작성분류, 평가, 집필기간, 
논문의 체계계획, 완성논문의 제출에 이르기까지 분야별 교수의 지도를 받게 된
다.
선교학부 상담영어전공 (상담심리과정) 교과목 해설
과목명
교과목 해설
상담이론 (Theory  of 
Counseling)
상담에 관한 기본적이고 다양한 이론과 모형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장면에 
적용하여 실제로 상담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습득한다. 
노인상담 
(Elderly Counselling)
노인상담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토대로 노인에 대한 개인적 상담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하고 상담이론을 실제에 응용하여 노인상담을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운다.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가정에서 일어나는 제반 가족상담 또는 가족치료의 역사적인 발전과정과 
가족체제의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들을 배우고, 가족의 성장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상담법을 익힌다.
가족치료(Family Therapy)
가족상담의 과정 및 치료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가족문제 해결을 
돕는 기초적인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술치료개론
(Introduction to Art 
Therapy)
미술치료를 위한 개론으로, 기본 이론과 다양한 미술치료 기법들의 실제 사례와 
실습을 제공하여 구제적인 이해를 돕는 과목임.
청소년이해론(Adolescent 
Understanding)
청소년기를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적응적 행동뿐 아니라 
부적응적 행동에 개입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상담장면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 등을 배우는 과목임.
청소년상담의 실제와 이론
(Theory and Practice of
 Adolescent Counselling)
청소년을 보호·선도하고 건전한 생활을 지도하며 수련활동의 여건조성하고 장려 
및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청소년단체를 육성하고 그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
사회에서 청소년에게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고 유해환경을 정화하는 등의 실제생
활과 접목할수 있게 한다.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ling)
집단상담에 관한 기본적이고 다양한 이론과 모형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장면
에 적용하여 실제로 상담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습득한다. 
상담자교육및슈퍼비전
(Theory and Practice of
 Supervision)
전문 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상담자에게 좀 더 전문적이고 숙련된 슈퍼바이저가 
상담 수련생의 상담 수행 능력을 올리기 위해서 제공하는 평가적이고 교육적인 
모든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애 및 진로지도(Lifelong 
and Career Guidance)
생애발달단계에서 진로는 개인의 삶을 정의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먼저 생애 전 과정에 걸친 진로발달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다각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진로이론들을 학습한다. 이를 기반으로 청소년, 대학생, 성인 및 노년에 이
르는 진로발달에 대한 주요 사안들을 다룬다.
청소년발달
(Adolescent 
Development)
청소년의 특성과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 출생부터 청년기에 이르는 성장과 발
달과정을 개괄하고 각 단계에서의 특징과 중요 요인 및 그에 상응하는 기초 심리
기제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기독교와 상담 
(Christianity
and Counseling)
성경에 기초한 상담의 원리를 제공하고 신앙과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
을 제시한다.
상담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상담에 관한 기본적이고 다양한 이론과 모형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장면에 적
용하여 실제로 상담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습득한다.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인간의 다양한 욕구, 성격과 행동 등을 과학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다
양한 검사도구의 실행방법을 익힌다.
진로심리검사(Career
 Psychological Testing)
진로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를 배우는 과목으로, 진로심리검사의 특성과 용도, 
진로심리검사 해석에 필요한 개념, 주요 진로심리검사의 특성과 실시방법을 이해
한다.
학습이론
(Learning Theory)
인간 행동의 원천을 학습으로 파악하고 인간의 학습 과정을 설명하려는 이론으로
서,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라는 이론이나 인지설 등을 파악하는 학문이다.
생활지도 (Life Guidance)
생활지도는 발달과 더불어 일어나는 진학・진급 나아가 졸업 이후에도 관심을 가
져야 하는 계속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생활지도는 학업지도와 같은 전문지식뿐 
아니라 학생의 사회성이나 정의적 측면과 같은 발달을 포함한 전체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학문이다.
이상심리(Modern
Abnormal Psychology)
인간의 부적응적 행동을 적절히 분류하고 그 원인 및 증상을 이해함으로써, 내담
자에게 적합한 진단 및 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는 소양을 함양한다.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
태내발달부터 아동, 청소년, 성인, 노년기에 걸친 인간발달의 이론과 연구방법,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노년학 (Gerontology)
노화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는 학문. 노년기의 심신의 특징, 고령자의 사회적 
배경이나 사회적 처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노화나 노년기에 관계되는 의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교육학 등이 종합적으로 연구를 추진하고 있는 
학문이다.
상담연구방법
(Research Methodology 
in Counselling)
문헌고찰과 양적/질적 연구설계를 다룬다. 양적 연구설계는 기술연구, 상관연구 
등을 포함하고 질적 연구설계는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방법론 등을 포함한다.
인간발달연구
(Human Development 
Research)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발달의 특성과 단계를 이
해하고, 인간을 둘러싼 환경들과 그 영향에 대해 이해한다.
인간의 이해
(Understanding Humans)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들과 정체성 형성에 주
요역할을 하는 다양한 환경 즉 가족, 집단, 지역사회, 조직, 문화 등에 대하여 배
운다.
직업교육론
(Vocational Counselling)
직업상담에서의 평가, 상담이론에 근거한 직업상담이론, 그리고 소수자의 직업상
담을 다룬다.
학습심리학
(Learning Psychology)
인간과  동물의 학습 방법과  이러한 학습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의 변화를  
다루는  심리학  분야를  다룬다. 
학습사례와  학습된 행동이 너무나 다양해서  이분야의 심리학자 대부분은  
수많은 생물종과 다양한 학습 상황들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원리의 발견을 
목표로 한다.
상담심리학 (Psychology 
of Counseling)
상담의 정의에서부터 상담이론, 상담기법, 상담과정, 상담윤리 등 상담심리학에 대한 
전반을 다룬다.
아동심리학 
(Child Psychology)
아동기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아동기의 신체, 인지, 정서 및 사회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발달적 특수성과 심리적 장애 등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문제들을 
다룬다.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인간의 다양한 욕구, 성격과 행동 등을 과학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다
양한 검사도구의 실행방법을 익힌다.
성격심리학
(Personality Psychology)
성격의 정의에서부터 발달과 구조, 성격 형성 과정, 대표적인 이론 등 성격심리
학에 대한 전반을 다룬다.
집단상담연구 (Studies in
 Group Counseling)
집단상담의 다양한 이론을 학습하여 집단상담자로서의 지식과 자질을 함양하고 
이에 따른 기법 및 실제를 연구한다
음악치료
(Music Therapy)
인간의 생리와 심리에 미치는 음악의 기능적 효과를, 심신의 건강을 위해 
심리요법에 응용한다.
사회 심리학 
(Social Psychology)
사람들의 생각, 느낌, 행동이 실제로 존재하거나 상상되거나 암시되는 다른 
사람들의 존재에 의해 어떻게 영향 받는지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진로상담이론
(Career Counselling 
theory)
어린 시절의 경험과 가족과의 초기관계가 직업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여 부모-자녀의 관계 유형에 따른 진로선택을 설명하는 진로상담의 
틀이다.
개인상담 (Personal 
Counselling)
개인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제를 개별적 면담을 통해서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 흔히 집단상담과 대비되어 사용된다. 개인상담에서는 단순히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기보다는 감정·태도·동기·행동성향 등의 명료화와 변화의 
촉진이 그 초점이 된다.
인간관계
(Human relation)
인간 상호간에 있어서 본성이나 직접적 접촉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내면적, 감정적인 인간대 인간의 관계이다. 이 개념은 
구체적인 조직이나 집단중에서 성립하고 있는 구성 원간의 상호관계를 외적인 
제도적 측면과 내적인 현실적, 인간적 측면의 2면성에서 취해졌던 때의 후자를 
특히말한다. 사회관계에 대치되어지는 개념이다.
성격이론
( Personality Theory)
성격이론은 인간의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달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요 이론으로는 정신분석, 인본주의, 특질 이론 등이 있으며, 인간 행동과 
심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복지(family welfare)
가족복지는 국민의 생활권의 기본이념에 입각하여 가족의 행복을 유지시키기에 
필요한 학습을 한다.
가족발달이론
(Family Development 
Theory)
가족의 삶에서 경험하게 되는 체계적이고 유형화된 변화에 대한 이론이다. 
가족은 이러한 발달단계마다 수행되어야 할 과업이 존재하는데, 가족발달과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구성원의 증가나 감소, 새로운 규범의 출현, 역할 
유형의 변화, 연령에 따른 가족구성원의 신체적 변화, 문화적 기대, 개인의 가치 
등이다.
긍정심리
(Positive Psychology)
긍정적인 심리학은 "생명을 가장 가치있게 만드는 것의 과학적 연구" 또는 
"생물학적, 개인적, 관계적, 제도적, 문화적, 전지구적 차원을 포함하는 여러 
수준에서의 긍정적인 인간 기능과 번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한 균형있는 
삶을 도모한다.
결혼과 가족
(Marrage & Family)
결혼과 가족은 결혼과 가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성과 사랑, 
결혼과정, 가족관계, 가족 위기와 적응 등의 내용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사회정서발달
(Social Development)
부모-자녀 간 애착관계나 가족관계, 또래관계 등 관계적 측면뿐 아니라, 기질적 
차이, 자기개념과 정체성 발달, 도덕성 발달, 공격성 등의 주제는 물론이고, 정서
의 인식과 표현, 조절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연구 결과를 다룬다. 
집단심리
(Group Psychology)
가족, 이웃, 학급, 직장 따위의 집단에 관련되는 심리, 행동, 문제 따위를 연구한
다.
영유아발달
(Infant Development)
영유아기는 인간의 생애 중 가장 급속한 발달과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영유아발달학은 수태로부터 유아기까지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모든 측면을
이해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발달장애
(Developmental Disorder)
발달장애 과목은 전문상담자가 상담지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지적장애 및 발달
장애 청소년과 성인을 도울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과 발
달장애인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부모학
(Parent Studies)
부모는 자녀가 태어나 가장 먼저 만나는 사회적 환경으로 자녀의 삶과 타인에 대
한 태도 및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차적인 요인이다. 많은 부모들은 자신
이 부모의 역할을 바르게 하고 있는 것인지 고민하고 갈등한다. 그것은 확고한 
신념과 좌표가 없는 불확실성 속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학은 
부모역할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건강한 가족문화를 선도할 다음 세대를 위한 예비
부모와 부모에게 지침서가 될 과목이다.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Counselling Practicum 
and Case Study)
상담현장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상담자의 업무와 처리과정을 이해하고 상담장
면에서 내담자와 보다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담목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례연구를 통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도록 한다.
집단상담이론(Group
Counselling Theory)
집단의 발달 단계를 학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집단 상담의 기술을 
독립시켜 보다 상세하게 실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향상시킨다.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교육과 관련된 심리학의 응용분야로서 심리학의 원리나 방법을 교육에 적용하고 
응용하는 학문이다.
아동발달과상담(Child 
Development and 
Counselling)
아이의 성장발달과정에 대하여 이해하고 아이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상담을 제공
하여 정서적 인지적 기능의 전반적인 발달과 사회성 향상을 도모하는 학문이다.
심리측정이론
(Psychometric Theory)
심리적 특성, 능력,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과 절차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
다.
졸업논문(Graduate 
Thesis)
상담심리와 관련된 주제를 정해서 논문을 다룬다. 논문작성법에 따라 논문 작성
의 과정, 계획표 작성에 더불어 자료수집, 목록 작성분류, 평가, 집필기간, 논문
의 체계계획, 완성논문의 제출에 이르기까지 분야별 교수의 지도를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