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히브리어(Biblical Hebrew)
구약성경의 원어인 히브리어를 읽으며, 성경원문을 이해하기 위해 기초문법부터 해석까지 연구한다.
·시가서(Poetical Books)
구약 5권(욥기, 시편, 잠언, 전도, 아가)의 개론적 연구와 성경신학을 통해 히브리시와 지혜 문학의 이해하고, 하나님의 계시를 발견한다.
·구약역사서 강해(Historical Books)
구약 성경의 역사서(여호수아-에스더) 연구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파악하여 정복시대, 사사 시대, 왕조시대, 분열왕국 시대, 및 포로후기까지의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전반적 이해 와 아울러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과 섭리가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이해한다.
·구약주경과 설교(The Old Testament Exegesis and Exposition)
구약 성경 본문 해석과 그에 따르는 설교에의 적용이다. 성경 본문의 원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연구한 내용을 교회와 성도의 생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약의 중요한 본문들을 선택하여 설교하면서 구약 본문에 다가서도록 한다.
·모세오경(Pentateuch)
모세오경의 중심사상 및 신학적 내용들을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해설함으로 오경의 특성을 이해토록 한다.
·선지서(Prophets)
고대 근동의 주술과 점술의 배경과 이스라엘 선지자들의 특성과 예언의 내용을 이해 하고 선지자의 부름과 역할을 통해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신 사역의 방향과 내용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히브리어강독(Hebrew Exegesis)
히브리어만이 가지는 고유성과 독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어휘와 표현 그리고 구문을 이해하도록 가르친다.
·공관복음(Jesus in the Synoptic Gospels)
공관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소명과 가르침, 하나님 나라 선포와 죽음 그리고 부활을 역사적 언어적 전망에서 연구하여 기독교의 창시자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지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서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살아갈 수 있는지 함께 연구한다.
·헬라어(Introduction to the Greek New Testament)
신약성경 헬라어의 문법과 어휘를 익혀 신약성경 헬라어를 읽을 수 있도록 구비시킨다.
·헬라어강독(Reading the Greek New Testament)
현대 언어학과 구문론에 입각하여 헬라어 신약성경을 읽고 주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요한문헌(Johannine Literature)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 그리고 요한서신를 역사적 언어적 신학적 전망에서 연구한다. 특히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에 집중하여 오늘 우리 시대에 예수를 믿고 따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포함한다.
·바울과 그리스도인의 덕(Paul and Christian Virtues)
이 과목은 아래의 두가지 전망에서 이뤄진다.
첫째, 바울의 윤리적 가르침의 근거를 아래의 세가지 전망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스-로마의 덕 -유대 종말론 -예수의 하나님 나라 윤리
둘재, 바울 서신 각권에서 윤리적 가르침의 차이를 살펴볼 것이다.
·공동서신(The General Epistles)
공동서신은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권의 서론적 이슈들과 함께 서신에서 말해주고 있는 주요 신학적 요지들을 살피고자 한다.
·경제와 그리스도인의 윤리(Economics and Christian Ethics)
경제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과 그리스도인들이 가져야 하는 윤리적인 측면을 살펴보는 과목이다.
·가정사역(Family Ministry)
현대 가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가정들을 향한 성경적 목회방향과 방법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사역(Youth Ministry)
현대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청소년들을 향한 성경적 목회방향과 방법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바울서신(Pauline Epistles)
바울서신들의 서론적 이슈들과 각 서신들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 주제들을 살펴보고 현교회에 대한 적용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목회상담(Pastoral Counselling)
목회를 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많은 성도들의 문제점들을 향하여 어떻게 성경적인 답을 줄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목회리더십과 교회정치(Pastoral Leadership and Church Politics)
목회자가 가지고 있는 리더쉽을 어떻게 교회의 정치에 접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는 과목이다.
·소그룹 성경공부(Small-group Bible Study)
교회에서 시행되고 있는 작은 모임에서 어떻게 성경에 대한 지식들을 전달하고 연구하고 삶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을 연구하는 과목이다.
·설교학과 방법론(Preaching and Delivery)
설교의 필수적인 요소인 내용 형태 전달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함.
·예배와 교회음악(Worship and church Music)
신구약과 교회의 역사에서 예배의 변천을 알아보고 예배의 정의와 성례예전과 말씀예전을 고찰한 뒤 예배에서 음악의 이해와 적용을 살펴봄
·기독교윤리(Christian Ethics)
교회와 사회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윤리적인 문제들을 성경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여 실천적인 방안을 고찰함.
·전도와 선교(Home and Foreign Mission)
국내전도와 해외선교의 이해와 역사 그리고 방법론 등을 고찰함.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Speech and Communication)
설교자를 위해 기본적인 설교이해와 방법 전달 등 케뮤니케이션의 방법을 고찰함.
·한국종교와 교회(Korean Religions and Church)
한국의 종교의 전반적인 이해와 종교다원주의적 상황에서 한국교회의 정착과 벌전을 고찰함.
·현대사조와 대응(Modern Thoughts and Theological Response)
현대의 사상들과 철학들의 흐름을 이해하고 이해대한 신학적인 대응방안을 고찰함.
·생명과 목회실천(Life and Ethical Practice in Church)
교회에서 수많은 생명윤리적 문제들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목회적 셀천과 대안을 고찰함.
·초대교회사(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 Church)
초대교회 역사를 통해 기독교 정체성을 확립한다.
·그리스도와 구원(Christ and Salvation)
기독론과 구원론에 대한 개혁 신학의 바른 이해를 정립한다.
·종교개혁이후 교회사(Church History after Reformation)
종교개혁 이후의 교회 역사를 연구한다.
·교회와 종말(Church and Eschatology)
교회론과 종말론을 통해 바른 개혁 신학을 정립한다.
·교리와 신앙(Dogma and Faith)
교리와 신앙과 관계를 연구하고 바른 교리와 신앙을 토대로 바른 교회를 세우도록 돕는다.
·하나님 세상 인간(God, World, human being)
신론, 인간론, 창조론을 통해 바른 개혁신학을 정립한다.
·중세 종교개혁사(Church History of Middle Age & Reformation)
중세와 종교개혁시대의 교회를 연구한다.
·교부연구(Patrology)
교부들을 통해서 기독교 신학의 정통적인 맥을 연구한다.
·신앙고백서 연구(Study of Catechism)
신앙고백서를 연구하여 바른 교회를 세워나가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