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과 신앙인격으로 준비되어 교회와 사회에 봉사 할 전문음악인을 양성한다.
ㆍ전공실기1,2,3,4,5,6,7,8 ( Major Performance ) 음악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배경으로 하여 실제악곡을 창작하는 실습과목으로 각 학년 각 학기마다 여러 가지 과제가 주어진다. ㆍ졸업연주 ( Graduation Concert ) 학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과정으로써 각 전공별 4년간 배우고 익힌 것을 4학년 2학기에 연주회 형식으로 진행한다. ㆍ합창1,2,3,4,5,6,7,8 ( Choir ) 기본적인 음악훈련은 물론 시대적 구분에 의해 음색의 차이점, 곡 해석의 다양성을 통하여 시대적 음악의 감각을 체험하여 고도의 음악성을 키운다. ㆍ음악이론 ( Musicology ) 음악전공자로서 알아야 할 음악이론수업으로 음정, 음계, 조성을 비롯해 그 밖의 기초적인 음악이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ㆍ화성법Ⅰ․Ⅱ ( Harmony ) 18․9세기를 중심으로 화음의 연결 및 제반이론을 통한 작품 이해와 연주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화음의 구조와 연결에 관하여 연구하는 고급화성의 과목으로 작곡능력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해당한다. ㆍ대위법 ( Counterpoint ) 16세기의 선법대위법을 비롯하여 18세기의 자유대위법까지의 여러 가지 이론을 터득하여 작품의 이해와 연주의 능력을 도우게 한다. ㆍ연주법 1,2,3,4,5,6 ( Recital ) 전공실기를 직접 연주를 통해서 전공실기의 기량을 닦아나가는 과목으로 각 학생 졸업 때까지 4회의 연주를 해야 한다. ㆍ시창․청음Ⅰ․Ⅱ ( Sight Singing & Ear Training ) 음악의 기초가 되는 음에 대한 감각을 익히고 상상의 소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실기 과목이다. ㆍ컴퓨터음악 Ⅰ․Ⅱ ( Computer Music ) 컴퓨터로 악보를 사보할 수 있으면 여러 가지 방면으로 유용한 쓰임새를 알아본다. 자신이 작곡한 곡이나 편곡한 곡을 깔끔하게 사보 할 수 있으며, 연주자가 없어도 피날레를 통해서 음악을 들어볼 수 있다. ㆍ서양음악사Ⅰ․Ⅱ ( History of Western Music ) 고대, 중세, 고전, 현대 음악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음악의 시대별 특징을 이해하여 음악의 역사적 흐름을 알게 하여 학생의 전공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 ㆍ찬송가학Ⅰ,Ⅱ (Hymnology) 현재 우리 찬송가를 형성케 된 역사(성경, 서양․한국찬송가)적 배경과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찬송가의 음악적 특성을 연구한다. ㆍ지휘법(Conducting ) 기초적 Beating의 기술을 습득시켜 간편한 악곡부터 단계적으로 수준 높은 작품까지 다루게 된다. ㆍ제 2실기 1,2,3,4,5,6,7,8 전공 이외에 피아노, 플루트, 드럼, 오르간, 성악, 관악, 일렉기타 중 선택하여 실습하며 기량을 닦아나가는 실기 과목이다. ㆍ피아노 반주법Ⅰ․Ⅱ ( Accompaniment of Piano ) 단순히 독주를 도우기 위한 보조역할의 차원을 넘어서 고도의 예술을 산출하기 위하여 선율에 따른 반주법을 익숙하게 연주할 수 있게 기초적인 반주에서 고차적인 반주 그리고 즉흥적 반주를 구사하도록 한다. ㆍ건반화성Ⅰ․Ⅱ( Keyboard Harmony ) 선율만의 곡을 화성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반주 및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준다. ㆍ피아노 레파토아Ⅰ,Ⅱ (Piano Repertoire) 피아노 음악사상 피아노 작곡가와 작품 양식을 분류하면서 다양한 작품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전문적인 음악연주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ㆍ피아노 교수법 Ⅰ․Ⅱ ( Piano pedagogy ) 피아노 교육에 있어 테크닉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시도나 음악적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실습해 본다. 크게 나누어 보면 좋은 연주, 연습 방법, 피아노 테크닉, 페달사용, 연주에 관한 기본 감각 등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그리하여 음악적 체계를 갖추어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한다. ㆍ피아노연주세미나Ⅰ,Ⅱ (Piano performance seminar) 피아노교수법 수업과 격년으로 연계해서 개설되는 과목으로 피아노를 연주하고 가르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과 테크닉 등을 다뤄본다. 또한 폭넓고 다양한 레파토리의 악보를 가지고 직접 연주 실습을 통해 자신의 연주 향상과 피아노를 잘 지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비전공학생들에게는 기초적인 피아노연주를 시도해봄으로 음악을 잘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ㆍ합주1,2,3,4,5,6,7,8 ( Ensemble ) 목관악기, 금관악기로 이루어진 합주형태를 통하여 각 악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악기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며 합주를 통하여 앙상블 능력을 키운다. ㆍ플루트앙상블 1,2,3,4 (Flute ensemble) 2중주, 3중주, 4중주 등 다양한 편성으로 연주함으로 앙상블에 표현방법을 배우며 음악적인 연주 능력을 키운다. ㆍ플루트레파토아 Ⅰ․Ⅱ ( Flute Repertoire ) 바로크, 고전, 낭만, 근대,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플루트의 모든 곡을 시대적 배경과 곡의 특성, 음악적 분석과 해설을 통하여 실제 곡을 완전히 이해함으로써 연주능력을 극대화시킨다. ㆍ오케스트라 엑셉트 Ⅰ․Ⅱ ( Orchestra Excerpts ) 오케스트라에 나오는 플루트 파트를 공부하는 것으로 고전, 낭만, 근대, 현대음악 등 모든 분야의 음악을 공부함으로써 프로오케스트라의 오디션에 미리 대비하는 실전적인 수업으로 연주능력을 향상시킨다. ㆍ악기 지도법Ⅰ․Ⅱ( Instrument Guidance ) 플루트를 가르치는 다양한 방법 - 대상에 따른 지도법 연구, 개인과 그룹지도에 관한 연구, 지도의 순차적 방향등 에 대해 연구한다. ㆍ악기수리법 Ⅰ․Ⅱ (Instrument Reparation) 악기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 고찰함으로 악기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결함과 고장의 원인들을 규명하고 연주자의 연주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스로 악기의 상태를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업. ㆍ오르간 반주법Ⅰ․Ⅱ (Accompaniment of Organ) 예배음악에 필수적인 찬송가 및 성가합창의 반주를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한다. ㆍ딕션 (이태리, 독어, 불어) ( Diction ) 이태리, 독어, 불어딕션 클래스는 학생들의 연주를 위해 언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기초적인 문법, 발음, 그리고 발성과 발음의 연결 등을 연구함으로써 각 나라의 곡들을 연주하는데 표현상의 부족함이 없게 한다. ㆍ영미가곡 (English Lied) 바로크, 고전, 낭만, 근대,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플루트의 모든 곡을 시대적 배경과 곡의 특성, 음악적 분석과 해설을 통하여 실제 곡을 완전히 이해함으로써 연주능력을 극대화시킨다. ㆍ성악앙상블 ( Vocal Ensemble ) 성악앙상블은 성악전공 학생들이 오페라곡에 담겨 있는 중창곡을 위주로 하여 실기와 이론을 통해 좀 더 많은 음악적 표현력을 배우는 수업이다. ㆍ오페라워크샵Ⅰ,Ⅱ (opera workshop) 성악과 학생들의 오페라 연구에 필요한 실기와 이론 학습을 통해 좀 더 많은 표현력을 배우는 수업이다. ㆍ가창Ⅰ,Ⅱ (A Song) 올바른 호흡과 발성에 대해서 공부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란 어떠한 것이며, 딕션을 포함하여 노래를 부를 때의 기능적인 면을 공부하는 과목으로, 한국가곡을 비롯하여 이태리, 독일 등 세계의 유명한 곡들을 함께 불러 봄으로서 다양한 곡들을 익힘과 동시에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한다. ㆍ밴드 앙상블1,2,3,4,5,6,7,8 ( Band Ensemble ) 교회실용음악 합주를 통해 실질적 연주능력을 향상시키고, 일반적 연주형태인 합주 실습을 통해 개인의 연주능력과 합주능력을 배가시켜 역량 있는 연주가로 훈련하는 과목이다. · 보컬테크닉 1,2,3,4 (Vocal technique) 가창의 음정(Pitch)과 강약(Dynamics), 그리고 음길이의 다양한 조절을 통하여 노래하는 가수로서 뿐 아니라 목소리를 악기로 사용하는 보컬리스트로서의 풍부한 표현 어휘를 갖추도록 하는 보컬 기술 실습 과목이다. ㆍCCM ・대중음악사 Ⅰ․Ⅱ(CCM & Pop music history) 한국과 서양 대중음악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고 있는 대중음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지며 동시에 팝음악과 우리 대중음악과 CCM의 상호관계를 배우며 동영상과 음원, 디지털 장비 등을 활용하여 진행된다. ㆍ재즈 화성법 ( Jazz Harmony ) 재즈기초화성을 배움으로 실용음악에 전반적인 코드와 스케일에 대한 이해를 가지게 하여 실질적인 작곡, 편곡, 연주에 있어 도움을 주려한다. ㆍ즉흥연주 (Improvisation) 현대의 실용음악에서 반드시 필요한 즉흥연주 테크닉을 배우고 합주를 통하여 익힌다. 건반, 기타, 베이스, 드럼, 관악기의 경우에는 재즈와 다양한 장르에서의 즉흥연주 기법을 전문적으로 연습하고, 보컬파트의 경우에는 재즈적인 즉흥연주보다는 실용적인 보컬테크닉 위주의 실습 과정으로 진행한다. ㆍ송라이팅 (Songwriting) 본격적인 싱어-송라이터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기보법, 가사작법, 편곡법 등 음악이론 전반에 걸친 소양부터 철학, 미학, 종교, 문학 등 음악외적 학문까지를 포괄적으로 통찰함으로써 작가적 보컬 양성을 위해 개설된 심화과정이다. ㆍ보컬퍼포먼스 (Vocal performance) 자유로운 보컬 솔로(스캣)를 위한 기초과정이며, 블루스와 코드톤, 텐션, 리듬체인지 등을 공부하고 리듬과 멜로디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각자의 스타일에 맞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ㆍ실용음악편곡 (Applied Arranging) 멜로디, 리듬, 형식 등의 음악적 개념과 드럼, 베이스, 기타, 건반 등의 리듬섹션을 위한 편곡 기법을 이해한다. 그리고 간단한 코드진행으로 구성된 곡의 코드 진행을 발전시키고 전주, 후주를 만들거나 다양한 전조 방법, 베이스 라인을 이용한 화음의 재구성 등을 공부한다. ㆍ리듬의 이해 (Understanding Rhythm) 현대대중음악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장르의 리듬패턴을 익히고, 드럼 및 퍼커션은 물론 기타, 베이스, 건반, 보컬 등 연주자들이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할 다양한 민속리듬에 대해 실습을 통해 리듬감을 체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