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휴먼케어영상콘텐츠대학원
(Graduate School of Human Care & Video Contents)

▫ 졸업은 4학기 24학점 이수와 논문(논문대체는 6학점 추가 이수) 과정을 마쳐야 합니다. 그외 모든 학사는 일반대학원 학칙에 준합니다.
▫ 외국학생들을 위한 영어 과정과 외국학생 및 내국인을 위한 한국어 과정을 제공합니다.
▫ 학부와 전공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선수과목 6학점 이상을 이수하도록 합니다. 학점 이수 여부 및 학점은 담당 전공 교수회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 졸업자격시험의 경우 논문을 쓰는 자는 영어시험 전공시험에 통과하여야 하고 논문을 쓰지 않는 자는 전공시험만 통과하면 됩니다.


 
|상담케어전공(Counseling Care)

■ 전공소개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심리적 건강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습니다. 상담케어전공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심리적 건강과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문 상담가를 양성합니다. 본 전공에서는 심리상담 이론과 기법을 심도 있게 학습하고, 이를 실제 상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연구합니다. 본 과정을 통해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 교육목표
상담학과는 사람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담심리이론과 실습을 통해 상담심리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심리상담에 필요한 다양한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집단상담, 상담면접 및 실습 외 다수의 상담이론과 기법을 교육한다.

■ 교과목안내
상담이론과 실제(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심리검사와 상담(Psychological Testing and Counseling)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Group 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
상담윤리(Counseling Ethics)
상담연구방법론(Counseling Research Methodology)
진로상담(Career Counseling)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집단상담 및 가족치료(Group Counseling and Family Therapy)
심리진단 및 평가(Psychological Diagnosis and Assessment)
성격심리 및 정신병리(Personality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좋은 삶의 철학(Philosophy of the Good Life)
노인상담이론(Theories of Counseling for the Elderly)
고급상담이론(Advanced Counseling Theories)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집단상담이론(Theories of Group Counseling)
진로상담이론(Theories of Career Counseling)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상담과 정신의학(Counseling and Psychiatry)
심리학개론(Introduction to Psychology)
학습심리학(Learning Psychology)
슈퍼비전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Supervision)
집단상담슈퍼비전(Group Counseling Supervision)
긍정심리(Positive Psychology)
정신병리와치료(Psychopathology and Treatment)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이상심리학(Abnormal Psychology)
가족상담사례연구: Case Studies in Family Counseling
부부상담이론: Theories of Couple Counseling
상담현장실습: Counseling Field Practicum




|AI 글로벌 비즈니스(AI Global Business) 전공

■ 과정 소개
대신대학교 휴먼케어 영상 콘텐츠대학원은 2024년 2학기부터 2년 과정의 AI 글로벌 비즈니스 석사과정을 개설합니다. 본 과정은 AI와 AI의 비즈니스 응용에 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감각과 지적 능력을 갖춘 경영 전문가를 배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운영과 경쟁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으며, AI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과 혁신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학생들이 AI 기술을 실제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AI와 글로벌 비즈니스의 교차점을 깊이 탐구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과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 교육목표
o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 강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요구하는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습득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집중합니다.
o AI 기반 융합적 사고력 배양:
인공지능 기술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합니다.
o 미래 지향적 리더십 함양:
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리더십을 함양

■ 교과 과정
o 1년 차: 기초 구축
- 1학기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글로벌 시장의 역학을 이해
인공지능 소개: 역사, 핵심 개념, 응용 등 AI의 기초 탐구
비즈니스를 위한 데이터 과학: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결정
다문화 관리: 다양한 문화에 걸쳐 다양한 인적자원을 관리하고 지도
- 2학기
기계 학습 및 딥 러닝: 고급 AI 기술 및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전략에서의 AI: 경쟁 우위를 위해 AI를 비즈니스 전략에 통합
글로벌 마케팅 전략: 글로벌 규모의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고 구현
국제 비즈니스법: 국제 시장에서 운영하기 위한 법적 고려 사항
o 2년 차: 고급 애플리케이션 및 전문 분야
- 3학기
AI 기반 의사 결정: 비즈니스의 전략적 의사 결정에 AI를 활용
금융 기술(핀테크): 금융 서비스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을 탐색
공급망 관리 및 AI: AI를 통해 공급망 효율성을 향상
디지털 시대의 리더십: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는 리더십 기술을 개발
- 4학기:
AI와 글로벌 비즈니스의 캡스턴 프로젝트: AI와 글로벌 비즈니스 개념을 통합한 실용적인 프로젝트
다국적 기업에서의 인턴십: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 실제 경험 축적
AI의 윤리 및 거버넌스: AI 배포의 윤리 및 거버넌스 문제 해결
선택 과목: 전문 AI 주제 또는 국제 비즈니스 주제 등

■ 졸업 후 진로
o 국제 비즈니스 관리자: AI 통합에 중점을 두고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을 주도하고 관리
o AI 기업: AI 연구원, AI 엔지니어, AI 컨설턴트 등
o 글로벌 기업: 글로벌 마케팅 담당, 글로벌 사업 개발 담당, 글로벌 전략 기획 담당
o AI 정책 입안자: 다양한 산업에서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정책 및 규정 개발
o 데이터 과학자/분석가: AI와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통찰력과 전략을 추진.
o 제품 관리자(AI 중심): AI 기반 제품의 개발 및 구현을 감독
o 기술 기업가: AI 혁신에 초점을 맞춘 기술 스타트업을 시작하고 선도
o 스타트업: 창업, AI 기반 스타트업 투자 등
o 정부 기관 및 연구소: 정책 연구원, 연구 개발 등

■ AI 글로벌 비즈니스 석사과정은 AI와 글로벌 비즈니스 교육을 융합한 혁신적인 과정입니다. 탄탄한 교과과정, 실제 경험의 기회, 다양하고 영향력 있는 경력을 향한 명확한 길을 갖춘 본 과정은 AI 시대에 글로벌 비즈니스의 미래를 탐색하고 형성할 수 있는 리더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글로벌신학전공(Global Theology)

■ 전공소개
글로벌신학전공은 개혁주의신학을 바탕으로 성경을 깊이 공부하고 싶은 평신도들과 설교자들 그리고 해외 선교사님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본 과정을 통해 개혁주의 신학 지식을 갖춘 글로벌 크리스천 리더를 양성할 것입니다.

■ 교과목안내
창세기연구(Study of Genesis)
시가서연구(Study of Poetic Books)
역사서연구(Study of Historical Books)
선지서연구(Study of Prophetical Books)
마태복음연구(Study of Matthew)
요한복음연구(Study of John)
사도행전연구(Study of Acts)
로마서연구(Study of Romans)
계시록연구(Study of Revelation)
신론(The doctrine of God)
인간론(Anthropology)
구원론(Soteriology)
기독론(Christology)
종말론(Eschatology)
예배학(Liturgics)
기독교교육연구(Study of Christian Education)

■ 특전
글로벌신학전공 졸업자는 본교 신학대학원 입학을 원할 시 무시험으로 입학한다.
글로벌신학전공 졸업자는 최대 20학점에 한하여 본교 신대원 학점을 인정해 준다. 구체적 과목과 인정학점은 신학과 교수회의 결정에 따른다.




|뷰티케어전공(Beauty Care)

■ 전공소개
1. 뷰티케어 분야의 체계적 학문으로의 정립: 뷰티케어를 하나의 전문 학문으로서 체계화하여, 연구와 실습을 통해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토탈뷰티케어 능력을 갖춘 고급 인재 양성: 피부 관리, 메이크업, 헤어, 네일 등 다양한 뷰티케어 영역에서 종합적인 역량을 갖춘 고급 인재를 양성하여, 통합적인 뷰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3. 뷰티케어 분야를 선도할 창조적 인재 양성: 뷰티케어 산업의 발전과 혁신을 이끌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인재를 양성하여, 새로운 트렌드와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교과목안내
색채학연구(Study Principle of Color)
미용문화사연구(Study History of Cosmetology Culture)
미용연구방법론(Methodology for Cosmetology Research)
화장문화사(History & Culture of Make-up)
건강뷰티산업(Healthy Beauty Industry)
교수지도방법론(The Study of Teaching Skill)
코스메틱칼라리스트학(Theory of Cosmetic Colorist)
퍼스널리티이미지연구론(Image Study of Personality)
광고와메이크업(Studies in Advertisement & Make-up)
메이크업트랜드연구(Study Make-up Trend)
메디컬뷰티케어(Medical Beauty Care Seminnar)
기능성화장품학연구(Study of Cosmetic Materials)
웨딩산업연구(Study of Wedding Industry)
한방피부미용소재론(Oriental Skin Care Material)
뷰티테라피연구(Study of Beauty Therapy)
아로마테라피연구(Study of Aromatherapy)
향료학연구(Study of Perfumery)
뷰티마케팅연구(The Study of Beauty Industry)




|영상콘텐츠전공(Video Contents)

■ 전공소개
영상콘텐츠전공은 뉴미디어시대에 디지털 미디어와 영상 기술과 함께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연구합니다. 스토리텔링, 촬영, 편집 등 전 과정에 걸친 전문적이고 이론적 교육과 연구를 통해서 뉴미디어시대를 선도할 뛰어난 영상 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 교과목안내
문화와예술(Culture and Art)
영상연출론
디지털콘텐츠와문화기획론
디지털문화론
엔터테인먼트산업의이해
한류문화와글로벌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이론
미디어생태학
문화경제론
영상미학연구
영상편집연구
스토리텔링과연출
영상과음악
촬영과 조명 방법론
문화예술경영의이해
문화예술과 창업
인공지능과문화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