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관리요령 | |||||||||
---|---|---|---|---|---|---|---|---|---|
글쓴이 | 전산과 | 등록일시 | 2013-05-28 09:09:46 | 조회수 | 2055 | ||||
1. 의심스러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하지 않기 이는 위·변조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스마트폰용 악성코드가 유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 단말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기 3.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 삭제하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이메일은 첨부파일 기능이 있어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비밀번호 설정 기능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하기 단말기 분실 및 도난시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5. 블루투스 기능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시에만 켜놓기 국외의 경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상당수의 스마트폰 악성코드가 유포되었기 때문에 악성코드 감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기능은 사용시에만 켜야 한다. 6. 이상증상이 지속될 경우 악성코드 감염여부 확인하기 스마트폰 메뉴얼에 따라 선조치한 후에도 이상증상이 계속될 경우에는 악성코드 감염일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7. 다운로드한 파일은 바이러스 유무 검사한 후 사용하기 스마트폰용 악성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특정 프로그램이나 파일 등에 숨겨져 배포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 유무를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 8. PC에도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바이러스 검사하기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PC에 있는 악성코드가 스마트폰으로 옮겨질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및 PC의 정기점검이 필요하다. 9. 스마트폰 플랫폼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기 플랫폼 구조 변경시 기본적인 보안기능에 영향을 주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10. 운영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이는 해커들의 다양한 공격기법에 대응하고 스마트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다. |
|||||||||
|
|||||||||
|